유형 : 유적 총 1,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유적
평창향교 / 平昌鄕校 [교육/교육]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하리에 있는 향교. 1658년(효종 9)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군수 최창민(崔昌敏)과 도유사(都有司) 나만정(羅萬程)이 유림회(儒林會)를 조직하여 창건에 기여하였으며, 1719년(숙종 4
평천서원 / 平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평촌리에 있었던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배현경(裵玄慶)·배신침(裵愼忱)·배세겸(裵世謙)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
평택향교 / 平澤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며, 일제시대에는 한때 농민학교(農民學校)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8칸의 대성전, 7칸의
평해향교 / 平海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에 있는 향교. 고려 공민왕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407년(태종 7) 군수 김한철(金漢徹)과 향중유림이 협의하여 송릉(松陵)으로 이전하였다가 1612년(광해군 4) 현재의 위치
포신박공묘표추기 / 逋臣朴公墓表追記 [문학/고전산문]
묘표추기. 1455년(세조 1) 단종이 왕위를 양보하자 자취를 감춘 9명의 은자 중 1명인 포신 박계손(朴季孫)의 묘표추기이다. 박계손의 9대손인 박명벽(朴命壁)이 송환기(宋煥箕)에게 요청하여 작성되었으며,《성담집(性潭集)》권26에 수록되어 있다.
포천영송리선사유적 / 抱川永松里先史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영송리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생활 유적.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지역도 대부분 골재 채취로 유구가 파괴되어 유적의 일부 양상만이 확인되었는데 5기의 원삼국시대 주거지, 토기출토 유구, 조선시대 건물지 추정유구 등이 그것이다. 영송리 유적에서 가장 특징
포천향교 / 抱川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향교. 1173년(명종 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594년 중건하였으며, 1950년 6·25전쟁 때 다시 소실되었다가 19
포항옥성리고분군 / 浦項玉城里古墳群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옥성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고분군. 고분군은 1993년 영일군이 흥해읍청사 및 체육관을 건립코자 부지정지작업을 하던 중에 다수의 매장문화재가 출토되고 있음이 국립경주박물관에 알려져 수습 발굴조사되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1994년에 약 5개월간
표충서원 / 表忠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에 있는 서원. 처음에는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서산대사(西山大師)·사명대사(四溟大師)·기허당(騎虛堂) 등 3대사의 충렬을 기리기 위한 사당으로 설립되었으며, 1839년(헌종 5)에 무안면 고나리 삼강동에서 현재의 위치인 표충사(表忠寺)의
풍계서원 / 楓溪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풍산리에 있는 서원. 1788년(정조 1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황희(黃喜)·오상덕(吳祥德)·황위(黃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