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김유기 / 金裕器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가인(歌人). 김천택(金天澤)이 그를 일러 “세상에 명창으로 이름이 알려졌다.”고 말한 바와 같이 당대를 대표하는 창곡의 명인이다. 자세한 전기는 알 수 없으며 기록들을 통해 추측할 뿐이다. 박영돈본(朴永弴本) 『해동가요』의 부록으로 실려 있는 『영언선(永

  • 김유성 영흥도호부사 해유문서 / 金裕成 永興都護府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유성 영흥도호부사 해유문서. 1892년(고종 29) 4월 21일 후임관이 절도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5월 초1일 절도사가 병조에 첩정을 올린 것이다. 김유성은 원직(元稙)의 아들로 유행(裕行)의 동생이다. 1891년(고종 28) 10월 14일에 본직을 제수 받았

  • 김유연 / 金有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9∼1887). 1844년(헌종 10) 증광문과에 급제, 초계문신에 발탁되었다. 이후 한성부판윤,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1866년(고종 3) 함경도관찰사 시절 변경방비 및 국경통상 등의 문제를 처리하였다.

  • 김유희 / 金有喜 [종교·철학/유학]

    1787년(정조 1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한익, 조부는 김항주, 부친은 김노창이다. 1819년(순조 19) 식년시에 진사 3등 35위로 입격하였다. 1820년(순조 20) 6월에 원릉참봉, 1821년(순조 21) 9월에 금부도사에 임명, 1822년(순

  • 김육 / 金堉 [종교·철학/유학]

    1580(선조 13)∼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문신·실학자. 기묘팔현의 한 사람인 식 4대손, 할아버지는 군자감판관 비, 아버지는 참봉 흥우, 어머니는 현감 조희맹의 딸이다. 정언, 안변도호부사, 형조참의, 병조참판, 개성부유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술로는 그

  • 김응선임명문서 / 金應善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융희 1) 11월 26일. 배종무관 김응선(金應善)을 황태자 이은(李垠)의 일본 유학시 배종으로 임명하는 문서. 1907년 11월 19일 순종황제는 조령을 내려 황태자 이은을 일본에 유학시키도록 명하였다. 순종은 당시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를 태자태사로 삼았

  • 김응순 / 金應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8∼1774). 할아버지는 영행, 아버지는 이건, 어머니는 조태과의 딸이다. 1753년(영조 29)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지평이 되었다. 이후 경상도관찰사, 대사헌,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770년에는 사직으로《동국문헌비고》의 편찬에 참

  • 김응정 / 金應鼎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의 문인. 아버지는 예빈시참봉(禮賓寺參奉)김한걸(金漢傑)이며, 어머니는 해남 윤씨(海南尹氏)이다. 그는 명종의 비인 문정왕후(文定王后)가 죽었을 때, 또 명종·선조가 죽었을 때에 고령에도 불구하고 상복을 입고 상사(喪事)에 임하였다. 당시 그는 비록 관직은 없

  • 김응조 / 金應祖 [종교·철학/유학]

    1587(선조 20)∼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장례원사의 농, 아버지는 산음현감 대현, 어머니는 수의부위 찬금의 딸이다. 17세 때 유성룡을 사사했으며, 1613년(광해군 5)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그러나 당시 광해군의 어지러운 정치를 보

  • 김응하 / 金應河 [종교·철학/유학]

    1580(선조 13)∼1619(광해군 11). 조선 중기의 무신. 고려의 명장 방경 후손, 아버지는 증 승지 지사이다. 1604년(선조 37) 무과에 발탁, 선전관, 경원판관, 북우후 등을 역임하였다. 명나라 신종은 그가 용전분투하다가 장렬한 죽음을 당한 데 대한 보답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