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정 / 里正 [사회/촌락]

    조선시대 지방행정조직의 최말단 단위인 이의 책임자. 조선 후기에 와서 그 담당자들이 낮은 신분 출신으로 동네의 심부름꾼과 다름없이 되었으므로 이정(里丁)이라고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군현 이하의 하부조직으로는 면(面)·사(社)·방(坊)·동(洞)·이(里)·촌(村) 등 여

  • 이정구 / 李廷龜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35(인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석형 현손, 아버지는 계, 어머니는 김표의 딸이다. 윤근수의 문인이다. 1590년(선조 23)에는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병조판서,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시문집으로는 그의

  • 이정국 / 李禎國 [종교·철학/유학]

    1743년(영조 19)∼1807년(순조 7).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 이인섭과 모친 유성구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대산 이상정에게서 수학하였다. 1773년(영조 49) 증광시 생원 3등 60위로 합격하였다.

  • 이정귀 / 李廷龜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문인. 세조 때의 명신인 이석형(李石亨)의 현손이며 아버지는 현령이계(李啓)이고, 어머니는 김표(金彪)의 딸이다. 윤근수(尹根壽)의 문인이다. 이정귀는 문장으로 이름 높던 가문에서 출생해 가문 내에서의 가르침을 통

  • 이정규 / 李廷圭 [종교·철학/유학]

    1587(선조 20)∼1643(인조 21). 조선 후기의 문신. 양녕대군 8대손, 원성 증손, 할아버지는 운손, 아버지는 개, 어머니는 윤충남의 딸이다. 1615년(광해군 7) 사마시에 합격, 1627년(인조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동부승지에 이르렀다. 일찍이

  • 이정규 / 李鼎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5∼?). 1768년 급제 후 주서가 되자 영조가 비망기를 읽게 하고 《명사강목》, 표피 등을 하사하였다. 교리, 수찬, 승지, 장령, 사간원대사간 등을 거쳐 사헌부대사헌이 되었다. 항상 직위가 바뀔 때마다 낙향하곤 하였다.

  • 이정기 / 李廷機 [종교·철학/유학]

    1613(광해군 5)∼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여해 증손, 할아버지는 광준, 아버지는 민환, 어머니는 홍구상의 딸이다. 좌승지 민성에게 입양되었다. 장현광의 문인이다. 1635년(인조 13) 사마시에 합격하여 참봉을 지내다가, 1648년(인조 26)

  • 이정기 / 李貞基 [종교·철학/유학]

    1872년(고종 9)∼1945년. 일제 강점기 성리학자. 이총언의 후예, 부친은 이원하이다. 장복추·김흥락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05년(광무 9) 을사조약에 대한 소식을 듣고, 일본의 침략을 배척하는〈양이설〉을 저술하여 영남유림의 경각심을 고취시켰다. 저서로《벽

  • 이정로 / 李正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8∼1923). 을미사변 때 폐비에 관계된 자들을 다스릴 것을 상소하였다.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에서 환궁할 것을 상소하였다. 중추원1등의관·봉상사제조·경효전제조 등 궁내부 각 아문의 장을 지냈다. 일제로부터 남작의 작위를 받았다.

  • 이정병 / 李鼎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59∼1834). 통례원상례가 되어 동궁의 입학을 주관하였다. 병조참지·동부승지·우승지를 지냈다. 풍천부사가 되어 환곡 만석을 경감 조치하였다. 돈령부도정이 되고, 오위도총부부총관에 올랐다. 저서로《금파문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