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재명 / 李在明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의사(1890∼1910).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려 하였으나 실행하지 못하였다. 이후 이재명·김정익 등의 동지들과 친일 매국노를 척결하기로 계획하고 직접 이완용을 수차례 칼로 찔러 상처를 입히고 체포된 뒤 사형을 언도받았다.
이재선의모역 / 李載先의謀逆 [역사/근대사]
1881년 안기영, 권정호 등이 고종을 몰아내고 고종의 이복형인 흥선대원군의 서장자(庶長子) 이재선을 추대하려다 실패한 사건. 민비일파가 실권을 쥐고 개국정책을 펴자, 이에 불만을 품은 전승지, 안기영, 권정호 등이 민비일파를 몰아내고 이재선을 추대하여 대원군을 복귀시
이재순 / 李載純 [정치·법제/정치]
대한제국 궁내부대신. 반일 외교정책 견지(1851∼1904).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특파대사로 일본에 파견되었다. 국왕을 궁성 밖으로 모셔와 새 정부를 새우려한 춘생문사건을 일으켰다. 이 일로 향리방축의 벌을 받았다. 전권대사로 유럽 각국을 방문하였다.
이재영언 / 頤齋詠言 [문학/고전시가]
조선시대 문신 조우인의 가사「매호별곡」·「자도사」·「출새곡」등 4편을 수록한 가사집. 1권. 필사본. 만든 연대와 사람을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책 끝에 이 책의 편찬경위와 편찬연월일, 편찬자의 이름을 적어놓았다. 내용은 「매호별곡(梅湖別曲)」·「자도사(自悼詞)」·
이재협 / 李在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1∼1790). 1757년(영조 33) 정시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사간원지평·홍문관교리 등의 요직을 역임, 1760년 암행어사로 호서지방을 감찰했다. 사헌부헌납·홍문관수찬을 거쳐 대사간에 올랐다. 이어 승지를 역임하였고, 1776년 정조가 즉위하
이저국 / 已柢國 [지리/인문지리]
삼한시대 진한의 소국.진한 12소국(小國) 중의 하나. 『삼국지(三國志)』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에 수록된 삼한(三韓) 소국의 이름은 당시의 중국 상고음(上古音)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그 표기는 우리나라의 고대 한자음에 가까우므로 ‘이저국’도 우리나라의 한자음에
이적의 / 李適意 [종교·철학/유학]
1652년(효종 3)∼1725년(영조 1). 조선 후기 문신·학자 증조는 이개립, 조부는 이휘음이다. 부친 이숭언의 6남 중 5남으로 태어났다. 외조부는 이상백이다. 형으로 이달의·이원의·이수의·이술의가 있고, 동생으로 이첨의가 있다. 서형으로 이철의가 있다. 부인은
이전 / 李㙉 [종교·철학/유학]
1558(명종 13)∼1648(인조 26).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수인, 동생이 준이다. 동생 준과 함께 유성룡의 문하에서 이황의 학설을 배웠다. 1603년(선조 36) 사마시에 합격, 세마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인조 때에는 지례현감에 제수되었으나 사
이정 / 李瀞 [종교·철학/유학]
1541(중종 36)∼1613(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중현 증손, 할아버지는 무, 아버지는 경성이다. 조식의 문하생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함안군수 유숭인의 휘하에서 소모관으로 의병을 모집하고 진해·창원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다. 상주목사,
이정 / 李霆 [종교·철학/유학]
1554(명종 9)∼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묵죽화가. 세종의 현손으로 익주군 이지의 아들이다. 석양정에 봉해졌다. 뒤에 석양군으로 승격되었다. 그의 작품으로는 <죽도>, <우죽도>, <문월도> 등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