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장곤 / 李長坤 [종교·철학/유학]

    1474(성종 5)∼1519(중종 14). 조선 중기의 문신. 신지 증손, 할아버지는 호겸, 아버지는 승언, 어머니는 이래의 딸이다. 김굉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495년(연산군 1)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 1502년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교리,

  • 이장백전 / 李長白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문 필사본. 책 표지에는 ‘丁香傳(정향전)’이라 쓰고 ‘附李長白傳(부이장백전)’이라 기록하고 있다. 안에는 「일석화(一夕話)」·「정향전(丁香傳)」·「이장백전(李長白傳)」이 합철되어 있다. 『조선학보(朝鮮學報)』 90집에 전권을 영인으로 소

  • 이장장가 / 李璋長歌 [문학/고전시가]

    1532년에 이장(李璋)이 조정의 신하들을 비방하여 지은 시가 작품. 『중종실록』 권74, ‘28년 3월’ 기사 등에 실린 「이장장가」는 다음과 같다(기사별로 표기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괄호 속은 차자표기를 성호경이 당시의 한국어로 옮긴 것임). “鄭光弼 細筆奴(

  • 이재 / 李栽 [종교·철학/유학]

    1657(효종 8)∼1730(영조 6).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현일, 어머니는 박늑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작은아버지 휘일과 숭일에게 배웠다. 1700년(숙종 26) 유배에서 풀려나자 안동군 금수에서 살았다. 벼슬은 주부에 이르렀으나 사직하고 오직 학문에만 몰두하

  • 이재 / 李梓 [종교·철학/유학]

    1606(선조 39)∼1657(효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해수 증손, 할아버지는 권, 아버지는 성신, 어머니는 권질의 딸이다. 163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예문관에 들어갔다. 1649년(효종 즉위년)에 호남지방의 암행어사를 거쳐 이듬해에 집의에 올

  • 이재 / 李縡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유겸 증손, 할아버지는 숙, 아버지는 만창, 어머니는 민유중의 딸이다. 김창협의 문인이다. 1702년(숙종 28)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가주서·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예문관검열, 형조참의, 병조참의, 동

  • 이재간 / 李在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3∼1789). 벼슬은 교리·헌납·부수찬·사간·응교·필선 등을 역임하여 주로 언관 계통의 관리로서 활약하였다. 정조 즉위 후 이조참의·대사성을 거쳐 이조참판이 되었으며, 양전의 실시를 주장하였다. 1789년 흉언사건에 연루되어 반역죄로 처형당하

  • 이재관 / 李在寬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의 화가(1783∼1837). 화원으로 태조의 어진을 모사해 등산첨사가 되었다. 화조·초충·물고기·구름은 물론 초상화에 특히 뛰어났다. 영모화는 일본에서도 유명했다. 대표작〈송하처사〉·〈미인사서도〉·〈월하신선도〉·〈총석정〉등이 있다.

  • 이재난고 / 頤齋亂藁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재 황윤석의 유고. 50책 6,000장. 황윤석은 다산정약용보다 1세대쯤 앞서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1829년(순조 29)에 후손 수찬과 당시의 전라도관찰사 조인영에 의하여 간행된 ≪이재유고≫ 12권 7책과 이 유고가 간행된 지 114년 뒤인 1

  • 이재면 / 李載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의 정치가(1845∼1912). 흥선대원군의 장남, 고종의 형이다. 임오군란 때 무위대장으로서 사태수습에 힘쓴 후 호조판서·지삼군부사·훈련대장 등을 겸했다. 흥선대원군의 재집정한 후 제1차 김홍집내각 때 궁내부대신을 지냈다. 흥친왕에 책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