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인직 / 李人稙 [문학/현대문학]

    1862-1916. 신소설작가, 언론인, 신극운동가. <국민신보>, <만세보> 주필, <대한신문>을 창간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언문일치 신소설 작가로 <혈의 누>를 발표, 신연극운동의 선구자로 <은세계>를 원각사 무대에 올렸다. 작품 <귀의 성>, <치악산> 등이

  • 이인철증시문서 / 李寅轍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고 궁내부특진관 이인철(李寅轍)에게 '효헌(孝憲)'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자혜애친왈효 행선가기왈헌'이라 적어 효헌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1910년 8월 26일 순종은 57명에게 시호를 내렸다.

  • 이인행 / 李仁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8∼1833). 1790년(정조 14)에 응제대책으로 온릉참봉에 발탁되었고, 벼슬이 세자익위사익위에 이르렀다. 서연에 입시·진강하여 동료들로부터 진강관이라는 칭송을 들었다. 저서로는《신야문집》이 있다.

  • 이인혁 / 李寅爀 [종교·철학/유학]

    1634년(인조 12)∼1710년(숙종 36). 조부는 이시발, 부친은 이경휘이다. 1657년(효종 8) 사마시에 합격하여 음직으로 공조좌랑에 제수되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인현왕후가 폐위된 뒤,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1694년(숙종 20)

  • 이인환 / 李寅煥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대건 증손, 할아버지는 시발, 아버지는 경휘, 어머니는 심대복의 딸이다. 1665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정언·수찬 등을 지냈다. 지평·부수찬을 거쳐 1675년(숙종 1) 암행어사가 되었으며,

  • 이일 / 李鎰 [종교·철학/유학]

    1538(중종 33)∼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 1558년(명종 13) 무과에 급제해 경성판관 등을 거쳐 1583년(선조 16) 전라좌수사·경원부사를 지냈다. 지중추부사, 비변사당상, 훈련원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증보제승방략』이 있다.

  • 이일영 / 李一榮 [종교·철학/유학]

    1773∼1833. 조선후기의 문신. 부친은 이집두, 어머니는 권세모의 딸이다. 1805년 명릉참봉에 임명된 이후의 관력을 서술하고, 평소 박식하고 재능이 출중하였음을 강조했다.

  • 이자 / 李耔 [종교·철학/유학]

    1480(성종 11)∼1533(중종 28).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색의 후손, 이예견의 아들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 1504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해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천추사의 서장관으로 북경에 다녀온 뒤 이조좌랑, 의성현령을 역임하였다. 1519년

  • 이자성리서 / 李子性理書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7.7×17.3cm이다. 표제는 이자성리서(李子性理書)이다. 조선시대 이이(李珥)가 쓴 책이다. 서문(序文)은 이도중(李度中), 발문(跋文)은 박기직(朴基稷)이 지었다

  • 이잠 / 李潛 [역사/조선시대사]

    1561(명종 16)∼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무신. 보 7대손, 태빈의 아들이다. 무과급제하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도체찰사 정철의 막료로 있었는데, 적개의병장 변사정이 그의 현명함을 듣고 청하자 부장이 되었다. 신상필벌을 강화하고 사졸과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