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인 / 李䄄 [종교·철학/유학]
1755년(영조 31)∼1801년(순조 1). 조선 후기의 왕족. 사도세자의 서자로서 어머니는 영빈 임씨이다. 10세에 작호를 받고, 13세에 유학 송낙휴의 딸과 혼인하였다. 영조가 죽자 수릉관에 임명되어, 그때의 공으로 1777년(정조 1)에 가자되어 흥록대부에 올
이인로 / 李仁老 [문학/한문학]
고려시대 예부원외랑, 비서감우간의대부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 증조부는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이오(李䫨)이다. 할아버지와 아버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기록을 볼 수 없다. 이인로는 25세 때에 태학에 들어가 육경(六經)을 두루 학습하였다. 1180년(명종 10) 29세
이인상 / 李麟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1710∼1760). 시·서·화를 갖춘 삼절로 불렸다. 산수화와 글씨 전서·주서 등에 탁월하고, 전각에 능했다. 저서로는《능호집》이 있고, 그림에 〈옥류동〉·〈은선대〉·〈설송도〉 등이 있고, 글씨에〈대사성김식표〉가 있다.
이인소 / 李寅熽 [종교·철학/유학]
1637(인조 15)∼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대건 증손, 할아버지는 시발, 아버지는 경억, 어머니는 윤원지의 딸이다. 1693년(숙종 19)에 57세의 나이로 알성문과에 병과로 동생 인병과 함께 급제하였다. 1696년 수찬으로 있으면서 화폐유통의 폐
이인엽 / 李寅燁 [종교·철학/유학]
1656(효종 7)∼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대건 증손, 할아버지는 시발, 아버지는 경억, 어머니는 윤원지의 딸이다. 1684년(숙종 10)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2년 뒤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조판서, 홍문관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이인영 / 李麟榮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의 의병장(1867∼1909). 명성황후 시해로 의병을 일으키고 관동창의대장을 거쳐 원수부13도 총대장에 선출, 의병 1만을 이끌고 서울로 진격할 때 부친상을 당해 낙향한 후 일본헌병에 잡혀 옥사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이인재 / 李寅梓 [종교·철학/유학]
1870년(고종 7)∼1929년. 유학자. 곽종석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이인재 또한 주리론으로 계승되고 있다.1912년《철학고변》이라는 서양고대철학사에 관한 저술을 내었다. 이 저서는 한말 유학자인 이정직이 저술한《칸트철학설대략》과 함께 국내에서는 초기의 서양철학연구
이인좌 / 李麟佐 [종교·철학/유학]
?∼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역신. 할아버지는 이운징, 윤휴의 손서이다. 영조의 즉위로 소론이 정계에서 배제되자 정희량·이유익·심유현·박필현·한세홍 등 소론 과격파와 갑술환국 이후 정계에서 물러난 남인들과 공모하여 밀풍군 탄을 추대하고 무력으로 정권쟁탈을 꾀
이인좌의 난 / 李麟佐의 亂 [정치·법제/정치]
1728년(영조 4) 3월 정권에서 배제된 소론과 남인의 과격파가 연합해 무력으로 정권탈취를 기도한 사건. 이인좌가 중심이 되었기 때문에 이인좌의 난이라고 하며, 무신년에 일어났기 때문에 무신란이라고도 한다.
이인중 / 李仁中 [종교·철학/유학]
1825년(순조 25)∼1896년(고종 33). 조선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이승헌, 어머니는 정태휴의 딸이다. 이종상의 문인이다. 성리학 연구에 힘을 기울였다.《성리대전》과 《도산언행록》을 즐겨 읽었다. ‘간우선생’이라 일컬었다. 1855년(철종 6)에는 융릉의 전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