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을규 / 李乙奎 [종교·철학/유학]
1508∼1545. 조선 중기의 문신. 수 증손, 할아버지는 구산, 아버지는 한주, 어머니는 조계량의 딸이다. 1531년(중종 26)에 진사가 되고, 1535년에 문과별시에 장원급제하여 벼슬이 형조좌랑을 거쳐 승문원교리에 이르렀다. 1537년(중종 30)에 사은사 겸
이음전 / 李音全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의 검무, 장구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 1930년 진주권번에 입적하여 1937년최완자(崔完子)로부터 진주검무를 전수받았으며, 배울 당시 김자진(金子眞), 이윤례(李潤禮), 최예분(崔禮分) 등과 같이 전수받았다.진주검무
이응 / 李膺 [종교·철학/유학]
1365(공민왕 14)∼1414(태종 14).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희충이다. 1385년(우왕 11) 문과에 급제, 1400년(정종 2) 방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한 공으로 1401년(태종 1) 익대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고 영양군에 봉작되었다. 좌부대
이응로선생사적지 / 李應魯先生事蹟地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산41번지에 있는 이응로의 사적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103호. 고암 이응로는 홍성 출신으로 필묵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시도와 시대정신에 투철한 작품세계로 국내는 물론 프랑스와 유럽 화단에 큰 영향을 미친 대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그는
이응윤 / 李應胤 [종교·철학/유학]
1573∼1620. 조선후기의 문신. 이세기 후손, 부친은 이대립이다. 한백겸의 문인이다.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벼슬은 첨정에 이르렀다. 광해군 때 낙향하였다. 저술로『삼서집의록』,『관향요결』등이 있다.
이응종 / 李應鍾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유학자‧의병장. 완풍대군의 8세손이다. 윤교형의 문인이다. 1558년(명종 13)는 생원으로 성균관에서 수학하였으나 붕당의 조짐을 보고 귀향하였다. 예학을 연구하여『가례부기』를 저술하였다. 임진왜란시 호남 의병에 가담하여 광주의 의병 진영에
이응진 / 李應辰 [종교·철학/유학]
1817년(순조 17)~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아버지는 이화면이다. 1860년(철종 11) 유학으로서 증광문과 복시에 합격한 뒤 이듬해 관록에 들었다. 사간, 우통례, 부호군, 성균관대사성, 예방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883년 이조참판에 올랐고, 1886년 지춘추
이응해장군묘출토복식 / 李應獬將軍墓出土服飾 [생활/의생활]
2002년 강원도 원주에 소재한 조선 중기 무관 이응해(李應獬) 장군의 묘를 이장하던 중 수습된 복식관련 출토품. 중요민속문화재 제246호. 출토된 복식은 단령(團領) 4점, 철릭[帖裡] 6점, 도포(道袍) 3점, 중치막[中赤莫] 7점, 창의(氅衣) 2점, 직령포(直領
이의강 / 李義綱 [종교·철학/유학]
1742년(영조 18)∼미상. 조선 후기 문신. 부친은 이정중이다. 1781년(정조 5) 임천군수, 1787년(정조 11) 정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한 후, 1788년(정조 12) 대사간·형조참의를 지냈다. 1797년(정조 21) 외직인 밀양부사 재직 시절 영운도차사원을
이의건 / 李義健 [종교·철학/유학]
1533(중종 28)∼1621(광해군 13). 조선 중·후기의 학자. 여 5대손, 아버지는 수한, 어머니는 경주최씨이다. 1564년(명종 19)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뒤에 학행으로 돈녕부직장이 되었으나 친상으로 곧 사직하였으며, 1610년(광해군 2) 이항복의 주청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