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총 2,1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차경석 / 車京石 [종교·철학/천도교]
1880-1936년. 보천교(普天敎)의 창시자. 전라북도 고창 출생. 동학접주를 역임한 아버지를 따라 동학운동에 가담하였고, 천도교(天道敎) 전남북 순회관(巡回官)을 지내기도 하였다. 1907년 강증산(姜甑山)을 만나 그의 수제자가 되면서 교통을 이어받았다. 그러나,
차도선 / 車道善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한말의 의병장·항일운동가. 함경남도 갑산 출신. 일제의 침략세력이 점점 강화되자 이를 물리치기 위해서는 먼저 일진회원을 암살해야 한다는 생각을 굳혀 북청군의 태양욱(太陽郁)과 함께 군읍민들을 교육시켰으며, 1907년 11월 16일에 북청군 안산면장 주도익
차병제 / 車秉濟 [역사/근대사]
1899-미상. 독립운동가. 평안남도 강서 출신. 1919년 만주에서 5적암살단(五賊暗殺團)인 27결사대(二七決死隊)에 가입하고 이탁(李鐸)·이우영(李宇榮)·손창준(孫昌俊) 등 27명의 대원들과 입국, 같은해 3월 3일 고종의 국장일에 참석하는 이완용(李完用) 등 5적
차석보 / 車錫甫 [언론·출판/언론·방송]
생몰년 미상. 언론인·독립운동가. 을사조약에 의하여 국권이 침해받게 되자 1908년 6월 <대동공보 大東共報>를 발간, 언론을 통하여 독립투쟁을 폈다. 이보다 앞서 수만명의 동포가 거주하는 해삼위(海蔘威)에서 독립운동을 펴고자 연해주로 이동, 국민회(國民會) 간부인 유
차야한십절 / 此夜寒十節 [문학/한문학]
1920년 유인식(柳寅植)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 10수. 『동산고 東山藁』에 수록되어 있다. 「차야한십절」의 첫머리에 “사천 이백 오십 삼 년 일월 십 일 밤에 바람과 추위가 심할 때에 화롯가에 혼자 앉아 이 시를 읊는다.”라고 적혀 있다. 「차야한십절」은는 고사(
차이석 / 車利錫 [역사/근대사]
1881-1945.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동암(東岩). 1919년 향리에서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고, 상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였다. 1928년 3월 한국독립당을 조직하여 간부로 활동하였다. 1933년 항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으로 선임되었
차천모 / 車天模 [역사/근대사]
1889-1936. 독립운동가. 평안북도 의주 출신. 1919년 3·1운동 때 의주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였으며, 일본 밀정 주계주(朱啓柱)를 살해하고자 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뒤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단에 입단, 활동하다가 1920년 군자금모금을 위하여 국내에 잠
차홍녀 / 車紅女 [예술·체육/연극]
1919-1940년. 여배우. 경기도 동두천 출생. 애초 기생이었는데, 극단 신무대(新舞臺)의 〈장화홍련전〉에서 홍련역으로 데뷔하여 배우가 되었다. 1935년 동양극장 설립과 함께 그 전속극단인 청춘좌(靑春座)에 입단하였다. 최독견(崔獨鵑) 작 〈승방비곡 僧房悲曲〉으로
차희식 / 車喜植 [역사/근대사]
1870-1939년. 독립운동가. 일명 봉습(鳳習, 奉習). 경기도 화성 출신. 1919년 4월 3일 차병한(車炳漢)·차병혁(車炳爀) 등과 화성군 장안면·우정면 일대의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3월 1일 이후 전국적으로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고 있다는 사실을 전하여듣고
창극좌 / 唱劇座 [예술·체육/연극]
1936년 2월 조선성악연구회 직속으로 조직되어, 본격적인 창극운동을 전개한 극단. 단원들은 오태석, 조상선, 정남희 등 남녀 중견급 창극인들이었다. 총지위는 이동백, 기획은 김용구가 담당했다. 1936년 4월 창립 공연으로 정정렬 편극인 <흥보전>을 서울 서대문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