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배천군읍지 / 白川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배천군(광복 당시 연백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光武三年五月日黃海道白川郡地圖及邑誌(광무3년5월일황해도배천군지도급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순조
백교회통 / 百敎會通 [종교·철학/불교]
1912년 보성사에서 간행한 이능화 저서. 각 종교와 불교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불교에 대한 비방에 대변하고 있다. 제1편에서는 각 종교와 불교를 대조하고, 제2편에서는 불교를 대변하였다.
백남운 / 白南雲 [정치·법제/정치]
1895년∼미상. 경제학자·정치가. 1933년《조선사회경제사》를 발간하였다. 1937년《조선봉건사회경제사 상》을 발간하였다. 1946년 2월 김두봉·한빈 등이 북한에서 결성한 조선신민당의 경성특별위원회위원장을 맡는 한편, 좌익세력의 집결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의장단의 의
백년한 / 百年恨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번역소설. 명대(明代)의 『금고기관(今古奇觀)』 중의 「왕교란백년장한(王嬌鸞百年長恨)」을 번역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번역물로, 줄거리는 같지만 세부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상당한 윤색이 가해져 있다. 우리 고전소설의 말기작품인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
백동화 / 白銅貨 [경제·산업/경제]
개항 이후 급증하는 재정 수요와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92년부터 1904년까지 주조, 유통시킨 화폐. 1894년의 '신식화폐발행장정'에 의한 은본위제 시행과 1901년의 '화폐조례'에 의한 금본위제의 채택에 의해 보조 화폐로 계속 사용되었다. 그런데 당시 시중에
백만명구령운동 / 百萬名救靈運動 [종교·철학/개신교]
1909년부터 1910년 사이에 한국교회에서 일어났던 전도운동. 한국교회의 조직적인 전도운동 또는 교회부흥운동의 역사는 1907년 대부흥운동에서 비롯되었는데, 백만명구령운동은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 운동은 민족의 현실을 개혁하는 문제보다는 내면적인
백무선 / 白茂線 [경제·산업/교통]
함경북도 무산군 무산과 백암 사이에 부설된 철도. 191.7㎞. 백암을 기점으로 북계수(北溪水)상황토(上黃土)산양대(山羊臺)서두(西頭)연평(延坪)연암(延巖)삼사(三社)천수(天水)유평(楡坪)연수(延水)흥암(興巖)을 거쳐 무산까지 삼림철도(森林鐵道)이다.
백양사사천왕문 / 白羊寺四天王門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 한말 대웅전 증축과 함께 중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는 사천왕문은 일주문과 불이문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백양사 사천왕문은 정면 가운데 칸은 사찰의 통문 역할을 하고 좌우 협칸
백조 / 白潮 [언론·출판]
1922년 1월 9일 창간된 문학동인지. 편집인 홍사용, 발행인 아펜젤러, 경성문화사에서 발행했다. 홍사용, 박종화, 현진건, 이상화, 나도향, 박영희, 노자영, 안석영, 원우전, 이광수, 오천석 등이 동인이며, 3호부터 김기진이 참여했다. 우리나라 근대 낭만주의의 화
백조회 / 白鳥會 [예술·체육/연극]
1926년 토월회의 간부였던 김을한, 윤심덕 등이 토월회의 지도부에 반발하여 만든 극단. 지도부가 돈에만 신경을 쓰고 신극운동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반발하여 이백수, 김기진, 김복진 등이 발족시켰다. 이상적인 신극운동을 해보겠다고 조직된 백조회는 1926년 2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