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단군신앙 / 檀君信仰 [종교·철학]

    우리나라 고유 신앙 가운데 하나. 환인, 환웅, 단군 등을 숭배하는 신앙이다. 천신과 산천신을 숭배하는 민족신앙의 대표적인 예이다. 단군신앙이 의존하는 경전으로는 <천부경> <삼일신고><참전경> 등이 있다. 근세에 와서 단군신앙은 여러 가지 이름의 교단이 창립되어 분파

  • 단궁잠오 / 檀弓箴誤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예기』 단궁편의 상례 내용에서 불합리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에대하여 논변한 예서. 6권 2책. 필사본. 1802년(순조 2)에 편정(編正)하였다.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상례외편(喪禮外編)에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공의중

  • 단암유고 / 端庵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정재련(1827~1903)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2책. 목활자본. 1914년 그의 손자 해대(海大)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민영(李敏榮)·정운호(鄭雲灝) 등의 서문, 권말에 해대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

  • 단애집 / 丹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오명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2책. 필사본. 1794년(정조 18) 증손 경원(慶元)에 의해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1책에 시·부·만(挽)·사(辭), 2책에 소·서(書)·제(題)·기

  • 단전 / 檀典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의 교육 지침을 서술하여 1914년에 출간한 교리서. 대종교교리서. 3권 1책. 연활자본. 1914년 홍갑표(洪甲杓)에 의하여 출간되었다. 권두에 홍갑표의 서문과 홍희경(洪憙敬)의 지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상 16장, 권중 7장, 권하 7장으로 구성되

  • 단전호흡 / 丹田呼吸 [종교·철학/도교]

    단전을 이용한 호흡법. 도교의 장생술의 일종이다. 단전호흡은 시대와 도맥에 따라 각기 다르다. 단전은 세 개가 있다. 상단은 이환이라 하여 눈썹 위 3촌에 위치하며, 중단은 강궁금월이라 하여 명치에 위치하고, 하단은 흔히 말하는 단전으로서 배꼽 밑 2촌4푼에 위치하고

  • 단조사고 / 檀祖事攷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교적 중의 하나. 나철을 중심으로 한 몇몇 사람들의 공동저작이다. 본래 1911년 대종교협제회의 이름으로 순한문체로 발간되었으나, 1951년 '한배일살핌'으로 한글번역 출판되었다. 내편은 19항목으로, 외편은 17항목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 단지문집 / 丹池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하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표지에 ‘丹池實記(단지실기)’라고 쓰여 있으나, 서문과 판심에는 ‘단지선생문집’으로 되어 있다. 1904년 후손 계효(啓涍)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

  • 단파유고 / 檀坡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황재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2책. 목활자본. 1929년 그의 아들 종관(鍾寬)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백낙규(白樂奎)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종제(從弟) 재용(在涌)과 김재준(金在駿)

  • 단화재집 / 團和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권직의 시·전문·논·강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6권 5책. 필사본. 서·발이 없어 필사연대가 미상이고, 권수에 ‘풍수원영사실교열(風樹園永思室校閱)’이라 씌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4에 시(詩) 490수, 부시(附詩) 37수, 권5에 시 22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