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박제순 / 朴齊純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1858∼1916). 을사늑약 체결 당시 외부대신. 을사오적 중 한 사람이다. 1893년 호조참판 때 청나라 군사 파병 문제를 협의, 1894년 충청도관찰사 때 동학농민 토벌에 참여하였다. 경술국치 때 내부대신으로서 ‘한일합방조약’에 서명 후 자작의
박중빈 / 朴重彬 [종교·철학/원불교]
1891-1943. 항일기의 원불교의 교조이며 대종사(大宗師). 자는 처화(處化). 호는 소태산(少太山). 전남 영광에서 출생. 1916년 4월 28일 대각을 이루었다고 하는데, 뒤에 이 날을 원불교의 개교일로 정하였다. 1924년 전라북도 익산군에서 불법연구회를 조직
박천군읍지 / 博川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박천군의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편찬연대 미상의 필사본 『박천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고, 『관서읍지』에 수록된 것도 있다. 내용 구성은 면리(面里)·도로
박헌영 / 朴憲永 [정치·법제/정치]
1900년∼1955년. 공산주의 운동가. 충남 예산 사람. 1919년 경성고보를 졸업하고 3.1운동 후 상해로 건너가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에 입당했다. 1922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인민대표자대회에 참석한 후, 김단야, 임원근과 함께 국내침투를 시도하다 신의주에서
박희도 / 朴熙道 [교육]
1889년(고종 26)∼1951년.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 해주 의창학교 보통과와 고등과 졸업, 1904년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한 뒤 협성신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중퇴하고 중앙유치원과 영신학교를 설립하여 교감이 되었다. 1916년 6월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지금의
박희로특증문서 / 朴羲㳣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정3품 통정대부 박희로(朴羲㳣)를 종2품 가선대부 규장각부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가 임박해 오던 1910년 8월 당시 수많은 관리들의 증직과 가자가 있었다.《고종실록》과《순종실록》에는 해당 인물의 활동상황과 증직사유, 가자의 등급 등이 모
반도의 무희 / 半島의舞姬 [예술·체육/무용]
1936년 최승희(崔承喜)가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 유아사 카츠에[湯淺克衛] 원작의 「반도의 무희」는 무대연출가이자 초대 문화청장관을 지낸 곤 히데미[今日出海]가 감독을 맡고, 주연은 최승희, 센다 고레야[千田是也], 우스다 켄지[薄田硏二], 시마다 케이치[島田敬一]가
반도지광 / 半島之光 [언론·출판/언론/방송]
1921년 9월 10일 평양신학교 학우회에서 편집 발행한 회지. 국한문 혼용으로 내리 편집한 기독교 월간지이며, 논단, 종교, 교육, 실업, 학술, 문예, 철학 등 각 분야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반만년간조선기담 / 半萬年間朝鮮奇譚 [문학/구비문학]
1922년에 발행된 편자 미상의 설화집. 1책. 186면. 한글활자본. 내용은 주로 신화·전설·민담을 망라한 104편을 게재하고 있다. 한문으로 된 조선조 야담집에 수록된 내용도 더러 있으나, 구전된 설화로서 한글로 출판된 것으로는 효시가 아닌가 생각된다. 전체의 내
반천무지법배 / 攀天撫地法拜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甑山敎)에서 신앙의 대상에 대하여 절하는 방법. 이 경배법은 강일순(姜一淳)이 포교활동을 할 때, 종이에다 사람을 그려 벽에 붙이고 자신이 그 앞에 선 다음, 자기의 추종자들에게 자기를 향해 네 번 절하고 마음으로 각자의 소원을 아뢰라고 하면서 가르쳐 준 방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