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궁전촌 / 宮田村 [생활/주생활]
조선 후기 주민들이 주로 궁방전을 경작하였던 마을. 궁방전은 17세기 초엽부터 궁방의 재정을 마련하기 위하여 교통이 편리하고 토지가 비옥한 평야·해안 지방에 널리 설치되었는데, 특히 전라도·황해도에 많았다. 궁방전이 대규모일 경우는 궁전촌 주민 전체가 궁방전만 경작하
궁중어 / 宮中語 [언어/언어/문자]
왕조시대 궁중에서 쓰던 특수 집단어. 궁중은 폐쇄사회적 성격이 농후하므로 일반 언어와는 이질적인 언어가 발달하였다. 그 전통의 장구성은 왕권에 대한 외경의식(畏敬意識)과 일반인과 구별하려는 유별의식(有別意識)이었을 것이며, 극존체(極尊體)의 존대법과 겸양법의 발달이 특
궁체 / 宮體 [예술·체육/서예]
조선시대 궁중에서 궁녀들이 쓰던 한글서체. 민간에서는 내간지(內簡紙)에 사용하였다. 내서(內書)라고도 한다. 궁체는 서체 상으로는 정서(正書)와 흘림[반흘림·(진)흘림]으로 나뉘며, 양식상으로는 등서체(謄書體)와 서한체(書翰體)로 구분된다.정서는 한자의 해서(楷書),
궁촌집 / 窮村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정찬휘의 시·서(書)·발·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8권 4책. 석인본. 근래에 후손 호영(皓永)이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29수, 소 4편, 권2∼6에 서(書) 118편, 잡저 6편, 권7에 서(序) 1편, 기 1편, 발 6
궁현장 / 弓弦匠 [과학기술/과학기술]
활시위를 만드는 장인. 현은 활시위이다. 궁현의 재료는 소나 말의 힘줄 및 생사 등이 쓰였는데, 특히 양계에서 쓰이는 궁현은 수령이 감조관이 되어 생사로써 만들었다. 소나 말의 힘줄로 궁현을 만들 경우는 보통 서너마리의 힘줄이 소요되었다.
권감 / 權瑊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우참찬 권성이다. 1710년(숙종 36)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그뒤 장릉참봉이 되었다. 남원현령,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권강 / 權江 [종교·철학/유학]
1567(명종 22)∼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금산훈도 권우신, 어머니는 일직손씨로 어모장군 붕의 딸이다. 이상정 문하에서 수학했다. 기질이 뛰어나고 학문에 능했다. 1589년(선조 22) 사마시에 합격한 뒤 관계에 뜻을 두지 않고 오직 학문에
권건 / 權健 [종교·철학/유학]
1458(세조 4)∼1501(연산군 7).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부는 권근, 할아버지는 우찬성 권제, 아버지는 우의정 권남, 어머니는 이원의 딸이다. 중종의 열한번째 아들인 전성군 변의 장인이다. 1472년(성종 3) 진사가 되고, 147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
권격 / 權格 [종교·철학/유학]
1620(광해군 12)∼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권대성 증손, 할아버지는 찰방 권주, 아버지는 선산부사 권성원, 어머니는 강선여의 딸이다. 1650년(효종 1) 진사가 되었고, 다음해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병조정랑, 강릉부사를 역임하였다.
권경 / 權璟 [종교·철학/유학]
1604년(선조 37)∼1666년(현종 7). 조선 후기 학자. 부제학 권자홍 후손, 부친은 사복시정 권의협이다. 하담 김시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경사자집에 두루 해박하였으며 배운 바를 반드시 실천하였다. 학문과 행실이 모두 뛰어나 인근 유림의 추앙을 받았다. 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