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김순 / 金洵 [종교·철학/유학]

    1648(인조 26)∼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공조정랑 김극형, 어머니는 동지중추부사 심대해의 딸이다. 송시열·송준길의 문인이다. 1687년(숙종 13)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기사환국의 변란을 보고 관계에 나갈 뜻이 없다가 169

  • 김순부전 / 金淳夫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광정(李光庭)이 지은 전(傳). 조선 후기에 이광정(李光庭)이 지은 전(傳). 『눌은문집 訥隱文集』 제20권에 수록되어 있다. 그 분량은 2,300여 자에 이른다. 뛰어난 식견과 의연한 태도를 갖춘 선비 김순부의 비극적 생애를 그린 작품이다. 사실보고적

  • 김숭겸 / 金崇謙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할아버지는 영의정 김수항(金壽恒), 아버지는 성균관대사성을 지낸 김창협(金昌協)이며, 어머니는 연안이씨로 부제학 이단상(李端相)의 딸이다. 일찍이 아버지에게 학문을 배워서 깊이 통달하였고, 서법 또한 절묘하였다. 비록 19세로 요절했으나, 그 뜻이

  • 김숭덕 / 金崇德 [종교·철학/유학]

    1732년(영조8)∼1776(영조 52). 조선 후기의 진사. 부친은 김양현이다. 1754년(영조 30) 증광시 진사 3등 64위로 합격하였다. 묘소는 선산 진륵동 병향에 있다.

  • 김승지댁주방문 / 金承旨宅酒方文 [생활/식생활]

    1860년에 과실주 담그는 법·생선요리법·장담그는 법 등에 관하여 저술한 조리서. 1책. 한글 필사본. 앞부분에는 계절에 따라 수확되는 곡식이나 과일을 이용하여 술을 담그는 법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고, 뒷부분에는 생선요리법 몇 종류와 장담그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 김시구 / 金蓍耉 [종교·철학/유학]

    1724(경종 4)∼1795(정조 19).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김정모이고, 아버지는 장령 김광운이며, 어머니는 채경전의 딸이다. 김광진에게 입양되었다. 성리학에 능했다. 1754년(영조 30) 증광 문과에 급제한 후 검열이 되었다가 찰방으로 쫓겨났다. 지

  • 김시민 / 金時敏 [종교·철학/유학]

    1681(숙종 7)∼1747(영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호조정랑 김성후, 어머니는 임원기의 딸이다. 김창협·김창흡의 문인이다. 1732년(영조 8) 선공감역이 되고, 장례원사평·사옹원주부·사직서영·종묘서영·의빈부도사·진산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 김시민선무공신교서 / 金時敏宣武功臣敎書 [언론·출판/출판]

    1604년 무신 김시민을 선무공신 2등에 책록한 교서. 공신교서.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정에서는 18명에게 선무공신을 책봉하였는데,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진주대첩(晋州大捷)에서 큰 공을 세워 선무2등공신에 책봉된 김시민에게 내린 교서이다. 2006년 12월 29일

  • 김시보 / 金時保 [종교·철학/유학]

    1658년(효종 9)~1734년(영조 10).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광현, 조부는 김수인, 부친은 김성우이다. 외조는 윤형성, 형으로 헌간공 김시걸이 있다. 1684년(숙종 10) 식년시 진사 1등에 3위로 합격하였다. 관직은 선공부정을 지냈다. 손자로 김이곤이

  • 김시빈 / 金始鑌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통덕랑 김정휘, 어머니는 이상언의 딸이다. 1702년(숙종 28) 사마시에 합격하고, 그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필선을 거쳐 1724년(영조 즉위년) 장령이 되어 영조의 탕평책을 두둔하다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