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산삼병 / 山蔘餠 [정치·법제]

    연회에 사용되는 음식인 더덕으로 만든 떡. 생더덕을 짓이겨 찹쌀가루를 묻혀 기름에 지진 후 꿀을 바른 떡이다. <음식디미방>에는 더덕이 삼, 산삼, 사삼으로 나오는데, 연회에 사용된 산삼으로 감태산삼, 산삼, 연산삼 등이 있다. 산삼병의 주재료는 산삼(더덕), 찹쌀,

  • 산성 / 山城 [예술·체육/건축]

    산세를 이용하여 쌓은 성. 포곡식과 테뫼식으로 나눈다. 청야입보하면서 궁시로 적을 제압하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전술에 따라 삼국시대 이래 많은 산성이 축조되었다. 세종대에 들어 읍성·행성을 수축하는 과정에서 산성의 중요성이 잠시 감소되었으나 여전히 비란책의 주류를 이

  • 산원 / 算員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가의 회계 업무에 종사한 전문직 하급 관직. 조선시대는 산원과 산학이 모두 호조에 소속되어 그 양성·시험·임용·근무가 모두 자체에서 이루어졌다. 산원의 정원은 초기는 30인이었으나 중기 이후 60인으로 증원되었다. 그리고 산학의 생도 역시 초기 15인에서

  • 산재 / 散齋 [정치·법제]

    제사를 지내기 전에 거행하는 재계 중 하나. 제사를 지내기 전에 참여자들은 일정 기간 부정한 것을 피하고 금욕을 통해 몸과 마음을 정결하게 하는 재계를 거친다. 재계에는 산재와 치재가 있는데 산재가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하면서 마음을 정돈하는 것이라면 치재는 제향에 전

  • 산정 / 散政 [정치·법제/정치]

    조선시대 관리들의 인사발령제도. 조선의 모든 관리에 대한 인사발령은 이조·병조에서 각 관리의 고과와 표폄 성적에 의거하여 매년 6월과 12월에 정기적으로 행하는 도목정(都目政)과 수시로 행하는 산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산정은 관리의 유고나 필요에 따라 빈번히 행하여

  • 산지기 [사회/촌락]

    남의 산을 지키고 보살피며 거기에 딸린 일을 하는 사람. 산지기[山直]는 특정 문중의 공유 재산인 문중산 또는 송계산(松契山)이나, 촌락사회의 공유 재산인 동네산 또는 동림(洞林)을 보호, 관리하기 위하여 고용되는 사람이다. 따라서, 그 산의 소유주에 비하여 사회적 신

  • 산청향교 / 山淸鄕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읍 지리에 있는 향교. 1440년(세종 22)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일부 소실되었다가 복원하였던 것을, 1597년 정유재란 때 완전 소실되어 1601년에 옮겨 세웠다. 1636년 병자호

  • 산택사 / 山澤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산림·교량·땔감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한 공조 소속의 관서. 1392년(태조 1)에 설치되어 산림·소택(늪이나 못)·나루터·교량·궁궐의 정원·식목·목탄·목재·석재·선박·차량·필묵·수철·칠기 등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였다.

  • 산학교수 / 算學敎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호조의 종6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호조부설의 회계사 양성기관이던 산학의 최고책임자. 산학은 고려 성종 때 국자감이 설치되면서 이른바 경사육학의 하나로 설치, 종9품 산학박사 2인을 두었다.1466년(세조 12) 관제개정 때 산학이 호조에 예속되면서 산학

  • 산학박사 / 算學博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청에서 회계사무 등 기술직에 종사한 관직. 1419년(세종 1) 한성부에서는, 산학박사 두 사람 중 지리와 산수를 겸한 한 사람은 본부의 토지측량사무를 겸임하게 해달라는 뜻을 조정에 올려 그대로 실시되었다. 1423년에 앞으로는 산학박사는 사족의 자제로서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