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박승빈 / 朴勝彬 [역사/근대사]

    1880∼1943. 법률가·교육자·국어연구가. 관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건너가 중앙대학 법학과를 졸업, 돌아와서 법관으로 활약하다가 1910년 변호사를 개업하였으며, 1925년 보성전문학교 교장에 취임하였다. 국어표기법의 통일이 필요함을 절감하게 된 데에 있었다고 전한다

  • 박승환 / 朴昇煥 [정치·법제/정치]

    1869년(고종 6)∼1907년(융희 1). 순국지사. 서울 출신. 1895년 10월 일제의 명성황후시해사건의 만행이 자행되자, 통분하여 일본인에 보복하고자 하였으나 기회를 얻지 못하였다. 1907년 7월 일제가 헤이그특사사건을 구실로 고종을 강제양위시킬 때, 궁중에서

  • 박시몬 / 박시몬 [예술·체육/무용]

    일제강점기 해삼위학생음악단의 일원으로 활동한 무용가. 러시아 해삼위(海參威,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생했다. 러시아 원동대학(遠東大學)을 졸업했다.그는 1921년 4월 해삼위학생음악단의 일원으로 고국을 찾았다. 해삼위학생음악단은 1921년 4월 24일 원산을 통해 고국

  • 박영효 / 朴泳孝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정치가(1861∼1939). 갑신정변 주도 개화파. 특명전권대신 겸 수신사 역임. 정변이 실패로 돌아가자 일본으로 망명했고, 1894년 일본 정부의 주선으로 귀국하여 김홍집 내각에 내무대신으로 입각했다. 1895년 제2차 갑오개혁을 추진하려 했으나, 역모 혐

  • 박영희 / 朴英熙 [문학]

    1901년∼미상. 시인·소설가·평론가. 1921년에 귀국하여 종합교양지《신청년》, 시 전문지《장미촌》의 동인으로 활약, 1922년에는《백조》 동인이 되기도 하였다. 1924년에는 개벽사에 입사하였고, 그해 10월 신경향파 문학단체인 파스큘라를 결성하였으며 1925년 카

  • 박우현 / 朴遇賢 [종교·철학/유학]

    1829(순조 29)∼1907. 조선 말기의 문신. 아버지는 박수룡이다. 1869년(고종 6)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이듬해 승정원부정자가 되었고, 1871년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이듬해 통훈대부에 올라 전적이 되었고, 이어서 좌정언이 되었다. 1873 년 최익현이 상소로

  • 박은식 / 朴殷植 [역사/근대사]

    1859-1925. 한말·일제강점기의 학자·언론인·독립운동가. 성리학과 위정척사사상에서 개화사상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1898년에 독립협회에 가입해 회원이 되었다. 그 해 11월의 지식인들이 중심이 된 만민공동회에서는 문교부장급 간부로 활동하였다. 신민회의 원로회원으

  • 박장현 / 朴章鉉 [종교·철학/유학]

    1908년(융희 2)∼1940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사학자. 부친 박재범과 모친 창녕성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송준필 등의 선대유학자들에게 가르침을 구한 뒤, 유교의 재건을 목표로 학문에 진력하였다. 1939년 일본 이송학사전문학교에서 유학하면서, 우찌다[內田

  • 박정양 / 朴定陽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대신(1841∼1904). 외교가. 주미 조선공사. 독립협회 창설 관여. 1866년(고종 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요직을 두루 거쳤다. 주미전권공사에 임명되어 미국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하였고 만민공동회에 참석하였다.

  • 박정양시장 / 朴定陽諡狀 [정치·법제]

    조선후기의 대신 박정양(朴定陽)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08년(융희 2) 7~8경 이근명(李根命)이 지어서 봉상사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박정양과 친구 사이이던 원임의정부의정대훈 이근명이 지었다. 이 시장의 작성 시기는 문면에 나타나 있지 않으나 박정양에게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