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박운 / 朴雲 [종교·철학/유학]
1493년(성종 24)∼1562년(명종 17). 조선 전기의 유학자. 부친은 박종원, 모친은 허량의 딸이다. 송당 박영을 찾아가 수학하였다. 퇴계 이황과 서신을 왕래하는 등 친분이 있었고 정주학에 조예가 깊었다. 저서로는『격몽편』,『자양심학지론』,『경행록』,『삼후전』,
박운수 / 朴雲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97∼1841). 1820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822년(순조22) 수빈박씨의 장례 때 종척집사를 하고 순흥부사에 이르렀다. 후에 돈령부판관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덕은유고》가 있다.
박원종 / 朴元宗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510(중종 5). 조선 중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거소, 아버지는 중선, 어머니는 허곤의 딸이다. 선전관, 병조참지, 강원도관찰사,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1506년 성희안, 유순정 등과 함께 반정을 모의해 연산군을 폐하고 중종을 옹립하였다.
박윤원 / 朴胤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1734∼1799). 김원행과 김지행의 문인이다. 1792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선공감역·서연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벼슬하지 않고 학문연구에 전념하였다. 저서로《근재집》과 《근재예설》이 있다.
박융 / 朴融 [종교·철학/유학]
?∼1424(세종 6).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영균, 아버지는 익, 어머니는 박충민의 딸이다. 1408년(태종 8) 생원시를 거쳐 같은 해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사간원정언, 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시문집인『우당집』이 있다.
박은 / 朴誾 [종교·철학/유학]
1479(성종 10)∼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학자·시인. 아버지는 담손, 어머니는 이이의 딸이다. 박은은 1495년(연산군 1) 17세로 진사가 되었고, 이듬해에는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권지, 홍문관정자, 경연관 등을 역임하였다. 박은은 해
박의장 / 朴毅長 [종교·철학/유학]
1555(명종 10)∼1615(광해군 7). 조선 중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영기, 아버지는 세렴, 어머니는 남시준의 딸이다. 김언기의 문인이며, 경사에도 밝았다. 1577년(선조 10) 무과에 급제해 진해현감, 경주판관, 성주목사, 인동부사, 경상수사 등을 역임하였다
박익 / 朴翊 [종교·철학/유학]
1332(충숙왕복위 1)∼1398(태조 7). 고려 후기의 문신. 부친은 영균, 어머니는 구위의 딸이다. 고려왕조에서 예부시랑·중서령·세자이사 등의 벼슬을 지내고, 여러 번 왜구와 여진을 토벌하여 전공을 세웠다.조선이 개국되자 두문동의 귀은제로 들어가 은거하였다. 저서
박인로 / 朴仁老 [종교·철학/유학]
1561(명종 16)∼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문인. 무인. 아버지는 석, 어머니는 주순신의 딸이다. 그의 82세의 생애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보면, 전반생이 임진왜란에 종군한 무인으로서의 면모가 두드러졌다고 한다면, 후반생은 독서와 수행으로 초연한 선비
박일원 / 朴一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사천이다. 음서로 관직에 나아가 아산현감·낭관을 역임하였으며 《추관지》· 《탁지지》를 편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