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기홍 / 李箕洪 [종교·철학/유학]

    1641(인조 19)∼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숙, 어머니는 송현의 딸이다. 이지렴·송시열의 문인이다. 1687년(숙종 13)에 학행으로 효릉참봉에 천거, 임용되었다. 통천현감, 청풍부사, 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자성편』·『직재집』등

  • 이길 / 李洁 [종교·철학/유학]

    1547(명종 2)∼1589(선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달선 증손, 할아버지는 공인, 아버지는 중호, 어머니는 윤구의 딸이다. 발의 아우이다. 생원시에 올라 1577년(선조 10) 태묘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사인을 거쳐 벼슬이 응교에 이르렀다.

  • 이길용 / 李吉用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 동아일보 체육기자, 조선일보 기자 등을 역임한 언론인. 경상남도 마산 출생. 아버지는 치상(致相)이며, 어머니는 이복순(李福順)이다. 어릴 때 아버지가 인천으로 생활 근거지를 옮김에 따라 인천에서 영화학교(永和學校)를 마쳤다. 1916년배재학당(培材學堂)을

  • 이남규 / 李南珪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의사(1855∼1907). 벼슬은 중추원의관·궁내부특진관 등을 지냈다. 1894년 일본군의 입성을 규탄하고, 갑오경장의 부당성과 명성황후 시해의 통분함에 대하여 상소를 올렸다. 이후 낙향하여 의병장 민종식을 숨겨주었다가 투옥되었으며 온양 평촌 냇가에서 아

  • 이남식 / 李南軾 [종교·철학/유학]

    1803년(순조 3)∼1878년(고종 15). 조선 말기의 서화가. 겸회 아들이다. 1824년(순조 24) 무과급제하여 선전관에 제수되고 한성판윤과 지의금에 이르렀다. 무관집안 출신으로 많은 서적을 수집하여 장서가 수만권이었고, 옛 사람의 그림과 글씨도 많이 수장하

  • 이노우에 가오루 / 井上馨 [정치·법제/외교]

    1836-1915. 일본 정치인. 외교관. 주한 일본공사. 일본 외무대신. 1869-1871년사이 조폐국지사, 민부대보 등을 역임하였다. 1873년 5월 대장대보를 사임한 후 선수회사를 설립, 제일국립은행과 삼정조를 원조하는 후견 활동을 하였다. 1875년 12월 원로

  • 이농 / 離農 [사회/사회구조]

    농가인구가 농촌으로부터 유출되는 현상. 좁은 의미에서 ‘농가인구로부터의 이탈’로 정의되기도 하고, 넓은 의미에서 ‘농가, 농촌, 농업으로부터의 이탈’로 파악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이농이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난 것은 일제강점기부터였고, 농민들은 국경을 넘어 만주나

  • 이능화 / 李能和 [종교·철학]

    항일기의 학자(1869-1943). 1910년 후 《조선사》 편찬에 참여했고, 불교잡지를 발간하여 불교포교와 민족문화수호운동을 수행했으며, 청구학회의 평의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한국불교에 관한 일체 사료를 망라하여 《조선불교통사》를 출판했고,《조선도교사》·《조선기독

  • 이단상 / 李端相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 할아버지는 정구. 아버지는 명한, 어머니는 박동량의 딸이다. 1648년(인조 26) 진사시에 장원했다. 다음해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설서·대교·봉교·부수찬·교리 등을 역임하면서, 서연에 나아갔다.

  • 이단하 / 李端夏 [종교·철학/유학]

    1625(인조 3)∼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섭 증손, 할아버지는 안성, 아버지는 식, 어머니는 심엄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했다. 공조좌랑, 이조참의, 홍문관제학,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