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기발 / 李起浡 [종교·철학/유학]

    1602년(선조 35)∼1662년(현종 3). 조선 중기 문신. 증조부는 이치, 조부는 이준철, 부친은 이극함이다. 모친은 최준극의 딸, 부인은 박동진의 딸이다. 형은 이흥발, 동생은 이생발이다. 형 이흥발, 동생 이생발과 함께 석계 최명룡의 문인이 되어 학문을 닦았다

  • 이기붕 / 李起鵬 [정치·법제/정치]

    현대의 정치가(1896∼1960). 이승만 대통령의 비서·서울특별시장·국방부장관·대한체육회장 등을 지냈다. 이승만대통령의 지시로 자유당을 창당하여, 자유당의 제2인자가 되었고, 민의원의장에 선출되었다. 1960년 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3·15부정선거’에 항거하는

  • 이기숭 / 李基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4∼1776). 부친은 이지한, 조부는 이광세, 증조부는 이수인, 외조부는 홍순보이다. 1771년(영조 47)에 28세의 나이로 급제한 후 관직은 홍문관수찬에 이르렀다.

  • 이기연 / 李紀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3∼?). 할아버지는 이명중, 아버지는 이의열, 어머니는 홍억의 딸이다. 우의정 이지연 아우이다. 1805년(순조 5)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대사성·대사간·우승지·공조판서·우참찬 등을 거쳤다. 1836년 공무를 폐기한 죄로 삭직되었으나, 이듬해

  • 이기영 / 李箕永 [문학/현대문학]

    1895년(고종 32)∼1984년. 일제강점기 소설가. 호는 민촌(民村), 충청남도 아산 출신이다. 1924년 『개벽』 창간 4주년기념 현상작품모집에 단편소설 「오빠의 비밀편지」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카프(KAPF)에 가맹하였고, 월북 전의 작품으로는 1933년

  • 이기원 / 李基元 [과학기술/의약학]

    1869년(고종 6)∼미상. 대한제국 시대의 의관(醫官). 1889∼1890년간 일본사람에게 의학을 수업, 1897년 군부군의를 시작으로 1898년 겸무관학교의무(兼武官學校醫務) 등을 거쳐 1906년 육군 1등 군의로 임명되었다.

  • 이기윤 / 李基允 [종교·철학/유학]

    1891년(고종 28)∼1971년.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가·서예가. 부친은 이익희이다. 장석영 문하에서 수학, 16세에 성균관 박사가 되어 경사와 제자백가서를 탐독하였다. 또 서법에도 조예가 깊어 명성이 있었는데, 청천서당·회연서당의 편액을 직접 썼으며, 당호·누정·

  • 이기중 / 李箕重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7∼1761). 1717년(숙종 43) 사마시에 합격하여, 사헌부감찰·형조좌랑·장악원주부 등을 거쳤다. 이후 공조정랑·김제군수·단양군수·인천부사·담양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경종의 생모인 희빈 장씨에 대한 평과 관련하여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 이기진 / 李箕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7∼1755). 권상하의 문인으로 헌납 때 유봉휘의 처벌을 주장하다 신임사회 때 파직됐다. 영조 때 시독관으로 소론의 치죄를 청하고, 왕세자 관례 때 봉전문을 빠뜨려 파직 후 낙향하였다. 이인좌의 반란 때 대사성으로 등용되어 이후 대사간·이판

  • 이기풍 / 李基豊 [종교·철학/개신교]

    1865-1942년. 장로교 목사·순교자. 평양 출생. 1883년까지 한학을 수학, 1907년 평양장로회신학교를 제1회로 졸업한 7명 중 한 사람으로, 한국인 최초로 목사 안수를 받고 곧 독로회(獨老會)의 파송으로 외지선교사로서 제주도에 파송되었다. 1918년 광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