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근우 / 李根友 [종교·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1∼?). 1821년(순조 21) 경과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의정부우참찬·사헌부대사헌·형조판서·형조판서·의정부우참찬 등을 지냈다. 1871년 대호군에 있으면서 추상존호도감에서 근무하였고, 이후 판의금부사·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이근우시장 / 李根友諡狀 [정치·법제]
조선 말기의 문신 이근우(李根友)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10년(융희 4)에 민영휘(閔泳徽)가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규장각지후관 민영휘가 지었으며 1910년 8월에 이근우에게 '효정(孝貞)'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이근택 / 李根澤 [정치·법제/정치]
1865(고종 2) - 1919. 구한말 을사오적의 한명. 본관은 전주. 1884년(고종 21) 무과급제한 후 단천부사, 길주목사, 충청도 수군절도사, 병조참판을 역임, 1897년(광무 1) 친위연대 제3대대장으로 정부전복을 음모하다가 제주도로 귀양갔다. 이듬해 한상판
이근택임중추원의장고명 / 李根澤任中樞院議長誥命 [정치·법제]
1906년(광무 10) 11월 17일. 고종이 이근택(李根澤)을 중추원 의장으로 임명하는 고신. 군부대신이었던 이근택을 중추원 의장으로 임명하였으며, 중추원부의장 이근상(李根湘)을 궁내부 특진관으로 임명하여 칙임관 1등을 하였다.1910년 경술국치에 협조하여 일본으로
이근필 / 李根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6∼1882). 현서의 아들이다. 1852년(철종 3)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의가 되었다. 1872년에는 동지부사로, 1873년에는 진하 겸 사은정사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조참판·형조판서·사헌부대사헌·예조판서·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이급 / 李級 [종교·철학/유학]
1721년(경종 1)∼1790년(정조 14).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이해 7대손, 증조는 이빈한, 조부는 이재광, 부친은 이민정이다. 1753년(영조 29) 식년시 병과 3위로 문과 급제한 뒤, 관직은 사변가주서·전적·병조좌랑·지평·정언·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이긍세 / 李絚世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생체역학』·『체육학연구법』·『기초체육교육』 등을 저술한 학자. 체육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충청남도 당진 출생. 1955년 인천고등학교, 1960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운동역학을 전공하여 이학석사와 공학박사
이긍익 / 李肯翊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36∼1806). 이이·김장생·송시열 등 서인계열의 사상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정제두를 중심으로 한 양명학파에 속했으며, 실학을 연구한 고증학파 학자였다.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저서로는《연려실기술》이 있다.
이기 / 李芑 [종교·철학/유학]
1476(성종 7)∼1552(명종 7). 조선 중기의 문신. 명신의 증손, 할아버지는 추이다. 아버지는 의무, 어머니는 성희의 딸이다. 좌의정 행의 형이다.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에 삼등과로 급제하였다. 대광보국숭록대부가 되면서 병조판서를 겸하여 조정의 대권
이기동 / 李基東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 조선체육회 창립총회발기인으로 활동한 체육인. 서울 출생. 육군무관학교(陸軍武官學校)를 졸업하고 휘문고등보통학교 체육교사를 역임하였다. 육군무관학교 동창생인 조원희(趙援熙) 등과 함께 당시 우리나라의 각급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체조교육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