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규보 / 李奎報 [종교·철학/유학]
1168(의종 22)∼1241(고종 28).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문인. 아버지는 윤수이다. 9세 때부터 중국의 고전들을 두루 읽기 시작했고 문에 대한 재능이 뛰어났다. 저술로는『동명왕편』·『개원천보영사시』등 이었다. 그리고 문집으로『동국이상국집』이 있다.
이규영 / 李奎榮 [언어/언어/문자]
국어학자. 호는 검돌. 경기도 수원 출생. 저자의 유고 『온갖것』에서 자신을 ‘끗없는꼿속땅젊은손’, 유고 『말듬』에서는 ‘끗없는꼿속나라젊은손’이라고 표시하고 있다. 1910년대 주시경파(周時經派) 문법가로서 사전편찬과 국어연구에 공헌한 학자이다. 보성중학교(普成中學校
이규팽 / 李圭祊 [종교·철학/유학]
1791년(정조 15)~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증조는 이진원, 조부는 이집두, 부친은 이일영이다. 1823년(순조 23) 정시 문과에서 장원으로 급제, 1826년(순조 26)에는 홍문록에 올랐다. 홍문관교리, 성균관대사성, 의주부윤, 이조참의, 황해도관찰사, 한성부
이규헌 / 李圭憲 [종교·철학/유학]
1896년∼1976년. 근대의 학자. 아버지는 회영, 어머니는 맹희술의 딸이다. 재종숙 하영에게 입양, 작은아버지 철영에게 수학하였다. 송병관·오진영 등과 교유하였다. 이유태의 유허비 건립에 참여, 이유태의《초려전집》 중간과 《사례홀기》·《문산문답》등을 간행하는 데
이균상 / 李均相 [예술·체육/건축]
1903년(광무 7)∼1985년. 건축학자. 본관은 정읍(井邑)이다. 일제강점기하의 유일한 한국인 건축과 교수이다. 1925년 경성고등공업학교 재학 중 오가와(小河弘道)의 도움을 받아 조선총독부에 들어갔다. 박길룡(朴吉龍)과 함께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본관(현존), 경성
이극돈 / 李克墩 [종교·철학/유학]
1435년(세종 17)∼1503(연산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집의 증손, 할아버지는 지직, 아버지는 인손, 어머니는 노신의 딸이다. 1457년(세조 3) 친시 문과에 정과로 급제해 전농시주부, 1459년(세조 5) 형조좌랑이 되었다. 1501년(연산군 7) 병조
이극로 / 李克魯 [언어/언어/문자]
경상남도 의령 출신. 호는 고루. 국어학자·정치인. 1920년 중국 상해 동제대학(同濟大學) 예과를 마치고 1927년 독일 베를린대학 철학부를 졸업하였다. 1929년 『조선어사전』(뒷날 조선어학회의 조선말큰사전)편찬 집행위원, 1930년 한글맞춤법 제정위원, 1935년
이극배 / 李克培 [종교·철학/유학]
1422(세종 4)∼1495(연산군 1). 조선 전기의 문신. 집 증손, 할아버지는 지직이다. 아버지는 인손, 어머니는 노신의 딸이다. 1447년(세종 29)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부정자, 감찰, 경상도관찰사, 병조참판, 집현전제학, 우참찬, 판중추부사
이근명 / 李根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대신·친일파(1840∼?). 1871년(고종 8)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궁내부특진관·춘천부관찰사·궁내부특진관·중추원의관·태의원경 등 요직을 거쳤다. 훈1등태극장과 대훈위 이화대수장을 받았으며, 일제로부터 자작의 작위를 받았다.
이근명임명문서 / 李根命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융희 1) 8월 31일. 궁내부 특진관 이근명(李根命)을 영친왕의 황태자 책봉시 정사로 임명하는 문서. 이근명은 조선 말기 대신이자 친일파 관료이다. 당시 궁내부대신 이윤용(李允用)이 순종의 명을 받아 발급한 것이다. 날짜 우측에는 순종의 어압과 <제고지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