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계집 / 尼溪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박래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3년에 간행한 시문집. 12권 5책. 목활자본. 1893년(고종 30) 후손 치복(致馥)과 외손 김진호(金鎭祜)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이계집』 권두에 남헌구(南獻求)와 치복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김진호의 발문이
이곡 / 李穀 [종교·철학/유학]
1298(충렬왕 24)∼1351(충정왕 3). 고려 말엽의 학자. 윤경 6대손이다. 자성 아들, 색 아버지이다. 1317년(충숙왕 4) 거자과에 합격한 뒤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밀직부사, 정당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가정집≫ 4책 20권이 전한다.
이공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주화관장신(呪花管掌神)의 신화인 동시에 그 신화를 노래하고 기원하는 제차(祭次). 큰굿 때에 초공맞이 다음의 제차에서 구연되고, 불도맞이 때에도 불린다. 제주도 무속에서는 서천 서역 땅에 인간 생명의 근원이 되는 환생꽃, 재난과 멸망의 근원
이곽 / 李廓 [종교·철학/유학]
1590(선조 23)∼1665(현종 6). 조선 중기의 무신. 태종의 아들 경녕군 비의 6대손, 아버지는 유인이다. 신장이 8척이나 되고 음성이 큰 종소리 같았으며, 힘이 장사였다. 이항복의 추천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이후 충청도병마절도사, 삼도수군통제
이관 / 李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2∼1791). 1779년(정조 3) 이재의 문집 끝에 있던 홍계희의 이름을 삭제하여 정언 유맹양의 탄핵을 받아 사판에서 제명당하였다. 노직으로 가선대부에 오르고 풍안군에 봉하여졌다. 벼슬은 부총관에 이르렀다.
이관명 / 李觀命 [종교·철학/유학]
1661(현종 2)∼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유록의 증손, 할아버지는 경여, 아버지는 민서, 어머니는 원두표의 딸이다. 1687년(숙종 13) 사마시에 합격, 이듬해에 익위사세마, 공조정랑, 함열현감, 예조참판,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병산집』1
이관징 / 李觀徵 [종교·철학/유학]
1618(광해군 10)∼1695(숙종 21). 조선 후기의 문신. 주의 증손, 할아버지는 창정, 아버지는 심, 어머니는 이민환의 딸이다. 1653년(효종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 사헌부장령이 되었다. 승지, 대사헌, 경연관, 보양
이괄의 난 / 李适의 亂 [정치·법제/정치]
1624년(인조 2) 정월 이괄이 주동이 되어 일으킨 반란. 이괄이 인조반정 때 공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2등공신으로 책봉되고 더구나 평안병사 겸 부원수로 임명되어 외지에 부임하게 된 데 앙심을 품고 사전에 치밀히 계획해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이 종래의 통설이다. 인조는
이광 / 李光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1879-1966). 호는 성암(星巖). 1907년 전덕기(全德基)·이동녕(李東寧) 등이 주도하는 애국계몽단체인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여 주권수호운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만주로 망명, 이시영(李始榮)과 같이 경학사와 신흥학교를 설립하여 유
이광 / 李光 [종교·철학/유학]
1485-1551. 조선 전기 유학자. 부친은 지성, 모친은 노언진의 딸이다. 김극인의 딸과 혼인하여 2남 1녀를 두었다. 아들은 충우, 충준, 사위는 오공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