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신명익 / 愼溟翊 [종교·철학/유학]
1676(숙종 2)∼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의병. 거창 향임으로 1728년 이인좌의 난 때, 정희량의 반란군이 거창으로 들어오자 반군의 기밀을 탐지하여 병영에 정보를 제공하여 적을 무찌르는 데 크게 공을 세웠으나 적에게 잡혀 죽음을 당하였다. 저서로『보만재집
신명인 / 申命仁 [종교·철학/유학]
1492(성종 23)∼? 조선 전기의 문신. 숭겸 후손, 김식의 문인이다. 1519년(중종 14)에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이약수·박광우 등과 함께 성균관유생 등 1,000여 명을 이끌고 광화문에 집결하여 조광조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하여 상소하였고, 대궐에 돌입하였다.
신명준 / 申命準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1803∼1842). 헌종 때 음성현감을 지냈고, 그의 작품인 《열상정화첩》중의〈산수도〉는 조선 후기의 전통적 남종화풍이 전형적으로 나타나 있다. 동생 신명연과 더불어 시에도 능하여 유명하였으나, 남종문인화로 이름난 아버지 신위의 그림에 비하면
신민일 / 申敏一 [종교·철학/유학]
1576(선조 9)∼1650(효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원 증손, 할아버지는 정미, 아버지는 암, 어머니는 김지의 딸이다. 1615년(광해군 7) 사마시를 거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예조정랑, 둥부승지, 우승지,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신병휴 / 申炳休 [종교·철학/유학]
1854년(철종 5)~미상. 조선 말기 문신. 증조는 신현록, 조부는 신응모, 부친은 신만구이다. 생부는 신헌구이다. 1887년(고종 24) 정시에 병과 2위로 급제하였고, 사헌부정언, 홍문관부응교, 승정원동부승지, 내무아문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신사관 / 申思觀 [종교·철학/유학]
1687년(숙종 13)~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신엽, 조부는 신명중이다. 부친 신현과 모친 이만경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신사태‧신사진이다. 부인은 임세양의 딸이다. 1714년(숙종 40) 증광시에서 진사로 합격하였고, 1736년(영조 12) 정시에서
신사영 / 申思永 [종교·철학/유학]
1670(현종 11)∼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상 증손, 할아버지는 명규, 아버지는 구, 어머니는 조수한의 딸이다. 사복시첨정, 병조참지를 거쳐 승지에 임명되었다. 공무를 집행할 때에는 거침없이 왕에게 직간하고, 사생활에서는 근검으로 일생을 지내 그
신사철 / 申思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1∼1759). 숙종 때 문과 급제하여, 이조좌랑·전라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경종 즉위 후 대사간·대사성·대사헌을 역임한 뒤 신임옥사로 노론이 숙청될 때 파직되었다가, 영조 즉위 후 대사헌과 호조판서가 되었다.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등용되어
신상 / 申恦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2(현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정미 증손, 할아버지는 암, 아버지는 민일, 어머니는 성문준의 딸이다. 1629년(인조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언, 장령, 종성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은휴와집』·『부음록』·『휘언』·『진행초
신상권 / 申尙權 [종교·철학/유학]
1725년(영조 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신득윤, 조부는 신석이다. 부친 신경류와 모친 조석중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신명권이다. 1762년(영조 38) 정시에서 장원으로 문과 급제하였다. 이후 정언, 지평, 장령 등에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