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윤노동 / 尹魯東 [종교·철학/유학]

    1753년(영조 29)~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윤세량, 조부는 윤광, 부친은 윤득수이다. 외조는 송징래, 처부는 조재홍이다. 1789년(정조 13) 식년시 진사 3등 56위에 합격, 1790년(정조 14) 증광시 갑과 3위에 문과 급제하였다. 1792년(정조

  • 윤대정본풀이 / 尹大靜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파평윤씨(坡平尹氏) 집안에 계승되는 수호신의 내력담이다. 이 수호신은 대정현감(大靜縣監)을 지낸 혈연조상이므로 윤대정(尹大靜)이라 일컫는 것이며, 벼슬을 한 조상의 내력담이므로 조상본풀이 중 ‘홍부일월[紅牌日月]’

  • 윤덕희 / 尹德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화가(1685∼1776). 아버지 윤두서의 화풍을 전수받아, 도석인물·산수인물·말 그림을 잘 그렸다. 산수화 등의 작품은 보수적이면서도 남종화풍을 비교적 깊게 수용한 면모를 지니고 있다. 정릉현감을 지냈고, 작품으로《해남윤씨 가전고화첩》·《산수도첩》·《미

  • 윤돈 / 尹暾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612(광해군 4). 조선 중기의 문신. 시영 증손, 할아버지는 징, 아버지는 극신, 어머니는 남견손의 딸이다. 이황·기대승의 문인으로, 1579년(선조 12) 생원·진사 두 시험에 모두 합격했으며, 1585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정자·수찬

  • 윤동도 / 尹東度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7∼1768). 순거의 증손, 할아버지는 진, 아버지는 혜교, 어머니는 이익수의 딸이다. 1745년(영조 21) 정시문과에 을과급제 후 사서·부교리·수찬·경상도관찰사·대사성·대사헌·이조참판·호조판서·우의정·좌의정·영의정 등의 청요직을 두루 거

  • 윤동수 / 尹東洙 [종교·철학/유학]

    1674(현종 15)∼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학자. 선거의 증손자로 자교의 아들이다. 처음 부모의 명에 따라 과시준비를 하였으나, 얼마 뒤 그 뜻을 버리고 성리학 공부에 전념하였다.1706년(숙종 32) 우의정 최석정의 추천으로 내시교관에 제수되고 승정원동

  • 윤동승 / 尹東昇 [종교·철학/유학]

    1718년(숙종 44)∼1773년(영조 49). 조선 후기의 문신. 언교의 아들이다. 1746년(영조 22) 진사로 춘당대시에서 을과로 급제, 문한관을 거쳐 1755년에 문학이 되고 이어 수찬·부교리·사헌부집의·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그뒤 응교·검상·부응교·부수찬·부

  • 윤동엽 / 尹東燁 [종교·철학/유학]

    1734년(영조 10)∼1793년(정조 17). 조부는 윤삼성, 아버지는 윤심진이다. 김원행의 제자이다. 부인 전지일당은 한시에 능하고, 며느리 강정일당은 성리학과 도가풍 시서화에 능한 여류 한학자며, 딸 정부인 파평윤씨는 남편 동지중추부사 장후시의 죽음을 슬퍼하여

  • 윤동주 / 尹東柱 [문학/현대문학]

    1917-1945년. 시인. 본관은 파평(坡平). 아명은 해환(海煥). 북간도 명동촌(明東村) 출생. 아버지는 영석(永錫)이며, 어머니는 김룡(金龍)으로 기독교 장로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다. 아우 일주(一柱)와 당숙 영춘(永春)도 시인이다. 14세(193

  • 윤두서 / 尹斗緖 [종교·철학/유학]

    1668(현종 9)∼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선비 화가. 정약용의 외증조이자 윤선도의 증손이다. 장남인 덕희와 손자인 용도 화업을 계승하여 3대가 화가 가정을 이루었다. 정선·심사정과 더불어 조선 후기의 삼재로 일컬어졌다. 집안이 남인 계열이었고 당쟁의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