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육신묘 / 六臣墓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단종에게 충절을 바친 사육신의 묘. 육신은 바로 참판 박팽년(朴彭年), 승지 성삼문(成三問), 교리 이개(李塏), 사예 유성원(柳誠源), 참판 하위지(河緯地)를 지칭한다. 노량진에 묘역이 조성되어 있는데 육신 가운데 5기의 표석이 세워져 있고 박, 유, 이,

  • 육신사기 / 六臣祠記 [문학/고전산문]

    사육신을 기리는 사당. 조선시대 단종에게 충절을 바친 육신(六臣)을 기리기 위해 1685년(숙종 11) 7월 강원도 영월에 육신의 사당이 건립되었다. 이에 송시열(宋時烈)이 기문(記文)을 지었다.《송자대전(宋子大全)》권144에 <영월군육신사기(寧越郡六臣祠記)>라는 제목

  • 육신사치제문 / 六臣祠致祭文 [문학/고전산문]

    치제문. 1791년(정조 15) 1월 19일 정조(正祖)가 동부승지 유문양(柳文養)을 파견하여 육신묘에 치제하게 하였다. 《홍재전서(弘齋全書)》권22에 수록되어 있다.

  • 육신전 / 六臣傳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남효온(南孝溫)이 지은 사육신의 전기. 작자의 『추강선생문집(秋江先生文集)』 권8과 조기영(趙基永)의 『생육신문집(生六臣文集)』 권7에 수록되어 있다. 『추강선생문집』에는 「육신전」 외에도 계유정란 때 세조를 따르지 않았던 허후(許詡)의 전(傳)도 남기고

  • 육십령 / 六十嶺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과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사이에 있는 고개. 호남과 영남을 연결하는 주요한 고개로 도계표시가 서 있다. 높이는 734m이다. 육십령은 거창을 중심으로 하는 경상남도 북부지역과, 진안을 거쳐 전주에 이르는 전라북도 동부지역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며,

  • 육영 / 六咏 [문학/고전시가]

    권섭(權燮)이 지은 시조. 작자가 지은 시조 75수 중 일부이며, 권섭의 친필유고인 필사본 『옥소고(玉所稿)』에 여타 작품들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제악숙(祭樂肅)·군악정(軍樂整)·선악정(禪樂定)·여악탕(女樂蕩)·용악처(傭樂悽)·무악요(巫樂搖) 등 여섯 편의 시

  • 육우당유고 / 六友堂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조위수의 부·서(書)·행장·시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필사본. 권1은 부(賦) 2편, 시 2수, 서(書) 22편, 문(文) 4편, 행장 2편, 부록의 권1에 유서(諭書)·제문·기(記)·가전(家傳) 등 20편, 권2는 장덕록(狀德錄) 3편, 영모

  • 육전소설 / 六錢小說 [문학/고전산문]

    신문관(新文館)에서 발행된 값이 싼 문고본 소설책들. 1913년부터 발행되었으며, 우리 나라 두 번째의 문고본이다. 판형은 B6판의 소형이고, 값이 싸서(6전) 부담 없이 휴대용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었다. <남훈태평가>, <홍길동전>, <심쳥젼>, <흥부젼>,

  • 육조 / 六曹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국가의 정무를 나누어 맡아보던 여섯 조에 대한 총칭. 즉 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를 일컫는다. 육조의 법제적인 기능은 고려시대, ≪경국대전≫ 이전, ≪경국대전≫ 이후의 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경국대전≫에 의하면 육조는 국왕에게 직접 정

  • 육조단경 / 六祖壇經 [종교·철학/불교]

    혜능이 쓴 저서. 혜능은 중국 선종의 법맥을 이어받았다. 중국 선종은 달마를 초조로 삼고 6대조인 혜능에게로 전해졌다. 이 육조단경은 선정의 본질로서 견성성불과 돈오를 강조하고 남종선의 관점에서 신수를 조사로 하는 북종선의 점수의 수행법을 비판한다. 여기서 돈오는 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