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육군유년학교 / 陸軍幼年學校 [교육/교육]

    대한제국 때에 설치되었던 초등군사교육기관. 1904년 9월 무관생도가 되는 데 필요한 보통학과 및 군인의 예비교육을 행하여 육군의 각 병과의 무관학도가 될 인원을 양성한다는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취학연령은 15세부터 19세로 하고 수업연한은 3년으로, 이를 졸업하면 장

  • 육담 / 肉談 [문학/구비문학]

    남녀간의 색정(色情)이나 성생활(性生活),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사항이나 현상을 소재로 한 이야기. 육담은 주로 성(性)에 관한 소재로 꾸며진 민담이기에 외설담이라고도 한다. 성에 관련된 것을 소재로 한 이야기가 민중 속에 퍼져 있으면서도 이를 저속하게 여기거나 공개하지

  • 육도가라 / 六度歌─ [문학/고전시가]

    근대기에 시당산인이 지은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460구. 필사본 『육도가라』(연대미상,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에 순 한글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상 서사─본사─결사로 나누어진다. 작품의 끝에 “시당산인은 자슐자필하여 유젼만셰 ᄒᆞ나니라

  • 육례 / 六禮 [정치·법제]

    왕실 혼례의 주요 절차인 납채, 납징, 고기, 책비, 친영, 동뢰연의 여섯 가지 의식. 왕실 혼례는 육례로 구성되어 있다. 납채는 국왕이 혼인을 청하는 것, 납징은 성혼의 징표로 예물을 보내는 것, 고기는 혼인의 날짜를 정하는 것이다. 책비는 왕비로 책봉하는 의식,

  • 육륜회 / 六輪會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에 널리 행하여졌던 불교의 수행법회 가운데 하나. 인간의 모든 감각기관으로 지은 죄를 참회하고, 앞으로 보다 많은 선행을 쌓을 것을 다짐하는 법회로서, 이 때 육륜법(六輪法)에 따른 의식이 병행된다. 육륜법에는 4면으로 된 윷짝 여섯 개를 사용한다. 육륜법은

  • 육방 / 六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조직편제. 즉, 이·호·예·병·형·공의 6방체제를 말한다. 이는 왕명출납에 있어서 육조의 사무를 각기 분장하기 위한 대응편제였다. 조선 후기에는 6방의 조직을 국왕이 직접 편성하였는데, 이를 위한 명단을 방단자(房單子)라 하였다. 이조에서 승지 6인

  • 육백산 / 六百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있는 산. 높이는 1,244m이다. 황조리ㆍ신리ㆍ무건리에 걸쳐 있으며, 태백산맥의 여맥인 해안산맥(海岸山脈) 중의 한 산으로, 북쪽에는 두리봉(頭理峯, 1,072m), 서쪽에는 대덕산(大德山, 1,301m), 남서쪽에는 백병산(白屛山, 1,259

  • 육상경기 / 陸上競技 [예술·체육/체육]

    달리고 뛰고 던지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움직임을 바탕으로 한 경기. 육상은 인간의 기본적인 움직임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므로, 육상경기의 기원은 인류의 발생과 함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즉, 달리고, 뛰고, 던지는 일련의 활동들은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방어와 공격법이

  • 육상궁노비하사교지 / 毓祥宮奴婢下賜敎旨 [정치·법제/법제·행정]

    1751년(영조 27) 10월 29일 육상궁에 총 292명의 노비를 특별 사여하는 문서. 문서에는 육상궁에 노비를 하사하는 이유나 과정 등을 적지 않았고, 각 중앙 관서에서 차출된 노비의 명단만을 나열하였다. 각 관서에서 많게는 57명에서 적게는 1명까지 차출하였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