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유희요 / 遊戱謠 [문학/구비문학]

    여러 가지 유희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노동요나 의식요와 함께 기능요에 속한다. 노동요는 작업 능률을 올리며 일의 고됨을 덜기 위해 부르는 노래이다. 반면, 유희요는 놀이를 질서 있게 진행시키며 놀이 자체를 흥겹게 하기 위해, 또는 승부에 이기기 위해 부르는 것이다.

  • 유희춘 / 柳希春 [종교·철학/유학]

    1513(중종 8)∼1577(선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양수의 증손, 할아버지는 공준, 아버지는 계린, 어머니는 최부의 딸이다. 처부는 송준, 김인후와는 사돈간이다. 김안국·최두산의 문인으로 1538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 장령, 전라도관찰사

  • 유희현전 / 柳希賢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정을선전」과 작품 서사구조에 있어서 거의 같다. 다만 등장인물에서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정을선전」의 한 이본 계열로 보아도 큰 무리가 없다. 이 작품은 중국을 배경으로 한 영웅소설과 가정소설의 복합형 소설이

  • 육가 / 六歌 [문학/고전시가]

    6수(首)를 단위로 한 연시조. 육가는 이별(李鼈)의 「장육당육가(藏六堂六歌)」를 비롯하여 이황이 지은 「도산육곡(陶山六曲)」 2편이 있고, 이후에는 이별의 「장육당육가」의 전통을 이어간 경우와 이황의 「도산육곡」의 전통을 이어간 경우로 나뉜다. 이별의 육가 전통은 주

  • 육가잡영 / 六家雜詠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위항시인 정남수·최기남 등 6인의 시 210수를 수록하여 1660년에 간행한 시집. 1권 1책. 운각필서체자(芸閣筆書體字). 정남수(鄭柟壽)·최기남(崔奇男)·남응침(南應琛)·정예남(鄭禮男)·김효일(金孝一)·최대립(崔大立) 등 6인의 시를 모은 것으로 절구(絶句

  • 육갑시왕원불가 / 六甲十王願佛歌 [문학/고전시가]

    1960년대 무형문화재 조사 과정에서 채록된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390구. 범패 분야 인간문화재인 이경협(李璟協, 1901~?)이 구술한 작품이다. 생전에 지은 죄를 참회하고 선심으로 공덕을 쌓고 염불로 극락왕생하자는 내용의 불교가사이다.

  • 육교시사 / 六橋詩社 [문학/한문학]

    1870년대 후반 강위(姜瑋)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던 위항문인(委巷文人)들의 모임. 육교란 청계천 하류로부터 여섯째 다리, 곧 광교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 곳 주위에는 의(醫)·역(譯) 중인의 집단적 거주지가 형성되어 있었다고 한다. 참가동인은 강위를 비롯하여 변진환(邊

  • 육군무관학교 / 陸軍武官學校 [교육/교육]

    1920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상해에 설립한 사관학교. 항일독립전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세운 이 학교는 1920년 3월 20일 개교식이 있었고, 입학생이 40명이라고 하나 5월 8일 19명의 제1회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이 학교는 김희선, 도인권을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졸업

  • 육군법원 / 陸軍法院 [정치·법제/법제·행정]

    1900년 9월부터 1907년 8월까지 설치되었던 육군에 관한 사법 관서. 1900년 9월 14일 ‘육군법원을 설치하는 건’에 관한 조칙을 발표해, 군대의 규율을 바로잡아 군인의 허물을 없애기 위해 원수부 내에 육군법원을 설치하여 군인심판을 전담하도록 하였다. 육군법원

  • 육군연성학교 / 陸軍硏成學校 [교육/교육]

    대한제국 때 설치되었던 현역장교 및 하사관의 재교육기관. 1904년 9월 교육부가 설치되면서 그 산하에 설치되었다. 현역장교나 하사관을 대상으로 전술, 사격술 및 체조, 검술 등의 학술을 숙달하게 하고, 그 원리를 이론적으로 연구하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교육연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