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시마무라 히사시 / 島村久 [정치·법제/외교]
1850-1918. 조선 주재 일본부영사. 미국 주재 특명전권공사. 1882년 11월 30일 일본공사관 서기관으로 조선에 도착하여 근무하였다. 1884년 10월 30일 일본부영사가 되었다. 1885년 1월 9일 조선을 떠났다. 1897년 3월 변리공사가 되었고 하와이에
시부자와 에이치 / 澁澤榮一 [정치·법제/외교]
1840-1931. 근대 일본의 자본가. 일본 제일은행 한국지점 창설. 한국에 대한 경제적 이권 침탈을 주도한 인물. 메이지정부 요청으로 1869년 12월 대장성 조세사정을 거쳐 1871년 신설된 개정국 국장직을 겸하면서 조세제도, 도량형 개정, 화폐 및 공채 제도,
식영암 / 息影庵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승려 문인. 식영암은 고려 후기의 대표적인 승려 문인으로 생평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제현(李齊賢, 1287∼1367), 민사평(閔思平, 1292∼1359), 이암(李嵓, 1297∼1364) 등과 교유하였다. 이제현과는 동년배 혹은 연상으로서 유자(
신개 / 申槩 [종교·철학/유학]
1374(공민왕 23)∼1446(세종 28).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집, 아버지는 안이다. 어머니는 임세정의 딸이다. 1393년(태조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로 발탁되었는데, 당시 태조가 실록을 보자고 할 때 그 불가함을 강력히 논하였다. 이어
신겸제 / 申兼濟 [종교·철학/유학]
1675년(숙종 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신용, 조부는 신득홍이다. 부친 신학과 모친 윤전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안여악의 딸이다. 1708년(숙종 34) 식년시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1717년(숙종 43)에는 태천현감으로 재직 중이었는데, 당시
신경 / 申暻 [종교·철학/유학]
1696(숙종 22)∼? 조선 후기의 문신. 여식 증손, 할아버지는 완, 어머니는 박세채의 딸이다. 이조참판 방의 아우이다. 도학이 뛰어나 세자보도로 천거되어 종부시주부, 사헌부의 장령·집의·시강원서연관·금성현령·호조참의·찬선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직암집』이 있다
신경윤 / 愼景尹 [종교·철학/유학]
1624년(인조 2)∼미상. 조선 중기 문관. 증조는 신유, 조부는 신수신이다. 부친은 신영건, 생부는 신영진이다. 형은 신대윤이다. 1666년(현종 7) 별시 문과에서 병과 1위로 급제하였고, 정6품 사과 등의 여러 관직을 지냈다. 김해부사를 역임하였고, 1681년(
신경준 / 申景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2∼1781). 33세 때까지 여러 곳으로 옮겨 다니며 살다가 33세부터 43세까지 고향에 묻혀 저술에 힘썼다. 43세 되던 1754년(영조 30) 향시에 합격 정언·장령 등을 역임했으며 《여지승람》을 감수했고 1770년 《동국여지도》의 감수를
신광수 / 申光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1712∼1775). 효성은 지극하였으나 오랜 관직생활에도 노모를 모실 집이 없는 사실이 알려져 왕으로부터 집과 노비를 하사받았다. 과시에 능했고 악부체의 시로서는〈관서악부〉가 유명하다. 저서로《석북집》16권 8책과《석북과시집》1책이 전한다.
신광업 / 辛光業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1623(인조 1).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팽년이다. 1603년(선조 36) 진사가 되고, 1610년(광해군 2)에는 별시문과에 장원하였다. 1618년에 수찬·교리를 거쳐 사간에 올랐다. 수찬으로 있을 당시 폐모에 대해 백관이 모여 논의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