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총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동백나무군락 / 冬柏─群落 [과학/식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에 있는 동백나무 군락.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7호. 동백나무는 우리나라 난온대림 즉 상록활엽수림대의 숲을 구성하는 표징종(標徵種)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주로 연평균기온이 14℃ 이상인 남해안 일대와 남쪽 도서지방에서 자라고 있다. 이곳
동백년산 / 東百年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문천군 풍하면과 황해도 곡산군 동촌면·이령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46m. 마식령산맥에서 언진산맥이 분기하는 곳에 위치한다. 산의 동쪽 계곡으로 문천군 풍상면에서 발원하는 임진강이 남쪽으로 흐른다. 산은 전체적으로 험악하고 가파른데, 특히 북동사면은 절
동백산 / 東白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장진면과 평안남도 영원군 소백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096m. 장진읍에서 남서쪽으로 20㎞ 떨어져 있으며 낭림산맥에 속한다. 서북쪽의 소백산(小白山, 2,184m), 남쪽의 마대산(馬垈山, 1,745m)·황봉(黃峯, 1,736m)·차일봉(遮日峯,
동복천 / 同福川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의 백아산(白鵝山)에서 발원하여 보성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55.4㎞. 내북천(內北川)·외애천(外艾川)·외동천(外東川)·운산천(雲山川)·고성천(古星川)·용대천(龍坮川) 등 많은 지류를 합치면서, 남류하여 보성강에 합류한다. 수원이 풍부하여 유량
동복호 / 同福湖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ㆍ이서면ㆍ북면에 둘러싸여 있는 용수전용의 호수. 광주광역시의 상수도 수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1971년 높이 19.3m, 길이 133.8m의 댐을 동복면 고소치에 건설함으로써 등장된 인공호이나 상수도 용수 수요의 증가에 대처하기 위하여 1985년 7
동북방언 / 東北方言 [언어/언어/문자]
우리 나라 동북부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동북방언은 대체로 함경남·북도를 그 구획에 넣고 있지만, 그 남쪽 경계는 도계가 아니고 함경남도 영흥과 정평 사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북 방언 내에서도 두만강 하류에 위치한 육진 지역의 방언을 육진방언이라 하는데, 이
동사 / 動詞 [언어/언어/문자]
품사의 하나.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단어의 집합을 말한다. 형용사와 함께 활용을 하는 용언(用言)에 속한다. 넓은 의미로 형용사를 포함하여 ‘동사’라고 하는 경우도 있고, 원리적으로 국어에서는 동사와 형용사를 구별하지 않고 동사를 동작동사(動作動詞
동산리소나무 / 東山里─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곡산군 동산리에 있는 소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182호. 소나무는 산기슭 아래와 밭 사이의 길가에서 자라고 있다. 소나무가 서 있는 지대의 토양은 현무암 위에 생긴 산림 밤색 토양이며 기계적 조성은 모래메흙이며 습기가 적당하다. 이 지역의
동서울종합터미널 / 東─綜合─ [경제·산업/교통]
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역로(구의동)에 있는 고속·시외버스 터미널. 서울 동·북부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와 중부고속도로 활성화, 도심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건립되었다. 경기도·강원도 지역을 주요 노선으로 하지만 경상도·전라도·충청도 등 전국 각지로 매일 1,200
동성광산 / 東星鑛山 [경제·산업/산업]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에 있었던 구리광산. 일제강점기 때 개발되었으나 1952년부터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귀금속 광산이 대략 금·은·동이 함께 산출되는 것처럼 이 광산에서도 함께 산출되었다. 품위는 금은 미미하나 은 53.24g·t,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