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용화산 / 龍華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하남면과 춘천시 사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877.8m. 화천에서 남쪽으로 약 8㎞, 춘천에서 북쪽으로 약 20㎞ 지점에 위치하고, 동남쪽으로는 고탄령(古灘嶺)과 사야령(四夜嶺)을 지나 소양강에 이른다. 남쪽 사면을 흘러내리는 양통개울은 남서쪽

  • 용화온천 / 龍華溫泉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에 있는 온천. 화북면사무소에서 북쪽 3㎞ 가량의 거리에 있는 아랫늘리에서 7㎞쯤 서쪽에 있다. 기록에는 없으나 구전으로는 조선 중기에 개발되었다고 하며, 만병을 고칠 수 있었다고 하는데, 특히 나병에 특효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당시

  • 용흥강 / 龍興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고원군 운곡면의 각고산(角高山, 1,038m) 남쪽에서 발원하여 영흥평야를 관류하며 송전만(松田灣)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134.8㎞. 유역 면적 3,397㎢. 각고산 남쪽 계곡을 흘러 영흥군 횡천면 산성리에서 흘러오는 하천과 합쳐지고 다시 창평에서 입석천(

  • 용흥리백로왜가리번식지 / 용흥리백로왜가리번식지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판교군 용흥리에 있는 백로·왜가리 번식지. 북한 천연기념물 제245호. 판교역에서 판교읍 방향으로 4㎞ 지점에 있다. 번식지는 이미 수백 년의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데, 이곳에는 소나무·신갈나무·떡갈나무 등이 자라고 있고, 오래된 20여 그루의 참나무와 신갈나무

  • 우 / 右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를 쓰다 여백이 없어서 그 오른쪽에 쓴 것의 앞에 표시하는 방법.

  • 우견현 / 牛見縣 [지리/인문지리]

    삼국시대 백제의 지명(地名). 본래 백제시대에는 마시산군(馬尸山郡)에 속하였으며, 757년(경덕왕 16)에 경덕왕이 목우현(目牛縣)으로 이름을 고쳤다. 그러나 고려시대에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운곡리로 비정하고 있다.

  • 우계 / 羽溪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강릉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우곡현(羽谷縣, 또는 玉堂)이었는데, 신라 경덕왕이 우계로 고쳐 삼척군의 속현으로 하였다. 1018년(현종 9) 강릉에 예속시켰고, 조선 세조 때강릉대도호부에 진관(鎭管)이 설치되면서 우계면으로 직촌(直村)이 되었다. 191

  • 우계일고 / 尤溪逸稿 [종교·철학/유학]

    박수서의 문집. 목판본, 서:이돈우(1877), 간궐후:박주대(1910), 2권1책. 1910년 후손 박주대등이 편집‧교감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는 이돈우의 서문과 연보가 있다. 권1에는 시17제 18수, 권2는 부록으로 박주종이 쓴 행장과 조성교가 찬한 묘지명을 수록

  • 우곡 / 牛谷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곡성군 서부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는 마한과 백제시대의 옛 지명. 마한의 연맹왕이 신하들과 국사를 논하고 있을 때, 우곡성주(牛谷城主) 주근(周勤)의 밀사가 달려와 백제의 온조왕이 웅천(熊川)주 01)에 책을 쌓고 우곡성을 넘본다는 보고를 하였다. 마한이

  • 우곡서원 / 愚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업리에 있는 서원. 1818년(순조 1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오국화(吳國華)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