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용추유영가 / 龍湫游詠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저자가 살던 방장산(方丈山) 아래 용추동(龍湫洞)일대의 뛰어난 경관을 읊은 작품이다. 조선시대의 가사 중에는 서경류의 작품이 많으나 지리산을 소재로 지은 것은 「용추유영가」가 초기작품에 속한다. 전 120구에 9단으로 이루어져 있

  • 용추폭포 / 龍湫瀑布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에 있는 폭포. 시에서 전천(箭川)을 따라 두타산(頭陀山, 1,353m)과 청옥산(靑玉山, 1,404m) 사이의 무릉계곡 서쪽 4㎞인 문간봉 절벽 아래에 있는 폭포이다. 가뭄이 심할 때 기우제(祈雨祭)를 올리는 곳이다. 동해시에서 시내버스가 수시로

  • 용택온천 / 龍澤溫泉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성천군 영천면 용택리에 있는 온천. 원래 500년 전에 발견되었으나, 그 뒤 폐쇄되었다가 1900년경에 다시 개발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온천을 중심으로 온정(溫井)마을이 형성되었고, 특히 경원선과 평남탄광선이 통한 다음부터는 교통이 편해짐에 따라 평양을 비롯한

  • 용평동계아시아경기대회 / 龍坪冬季─競技大會 [예술·체육/체육]

    1999년 1월 30일부터 2월 6일까지 강원도 평창 등지에서 개최된 제4회 동계아시아 경기대회.동계아시안경기대회. 동계아시안게임은 4년마다 개최되는 30억 아시아인의 동계 스포츠 축제다. 1982년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된 제9회 하계아시안게임에서 아시아지역 동계스포츠

  • 용호군 / 龍虎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경군인 이군육위 중의 한 군단. 응양군과 더불어 이군이라 한다. 태조의 친위군이 광종 때 더욱 증대, 강화되었다가 성종 때 일단 축소된 듯한데, 현종 때쯤 이군으로 정착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조직은 최고 지휘관인 상장군 1인, 대장군 1인, 장군 2인,

  • 용호놀이 / 龍虎─ [생활/민속]

    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무안리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원래는 정월대보름날 행해졌다. 무안은 밀양역에서 서북쪽으로 30리 되는 곳에 있으며, 조선조 때는 역참(驛站)이 있던 곳으로 수안역리(水安驛里)라고도 한다. 수안이란 우리말 ‘물안[水內]’의 이두문자식 표기로서, 무안

  • 용호도 / 龍虎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용호리에 있는 섬. 동경 128°30′, 북위 34°44′에 위치한다. 한산도(閑山島)에서 남쪽으로 1.0㎞, 통영에서 남동쪽으로 11㎞ 지점에 있다. 면적은 3.41㎢이고, 해안선 길이는 8.0㎞이다.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200

  • 용호서원 / 龍湖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에 있는 서원. 1704년(숙종 30)에 세덕사(世德祠)로 건립되었다가 1707년(숙종 33)에 용호서원(龍湖書院)으로 승격되어 성주도씨 도성유(都聖兪, 1571∼1649), 도여유(都汝兪, 1574∼1640), 도신수(都愼修, 1598∼

  • 용호영 / 龍虎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국왕을 직접 호위하던 친위군영. 국왕의 친위군인 금군은 효종 때 왕권강화로 군직을 내삼청으로 통합해 일원화하고 군영으로 발족하였다. 1666년(현종 7)에 내삼청을 금군청으로 개칭하였다. 동시에 700명으로, 7번으로 나누어 영솔하게 하였다. 좌우별장도 단별

  • 용호유고 / 龍湖遺稿 [종교·철학/유학]

    정유귀의 문집. 석인본, 서: 유석우(1984), 발: 정규섭(1984), 2권 1책. 권두에 있는 유석우의 서문에서는 각각의 저자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실려있어 책과 저자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용호유고>는 시 87제 113수와 서 4편, 제문 4편이 있고,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