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용진 / 龍津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문천지역의 옛 지명. 고려시대에 용진(龍津)이라 이름을 바꾸고 진(鎭)을 두었다. 1006년(목종 9)에 성을 쌓았는데 주위가 3,004척, 높이가 5척이고 삼면이 바다에 둘려 있으며 성내에 우물이 하나 있었다. 축성 후인 공민왕 때 문주(文州, 지금의 文川)

  • 용진서원 / 龍津書院 [교육/교육]

    함경남도 문천군 북성면(현재의 강원도 문천시) 신안리에 있었던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6년 ‘용진(龍津)’이라고 사액됨과 동시에 민정중(閔鼎重)을 추가배향하였다. 그

  • 용천군 / 龍川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서단에 위치한 군. 동남쪽은 철산군, 동북쪽은 신의주시·의주군, 서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의 요령성 안동현(安東縣)과 마주보며, 서남쪽은 황해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4°11′∼124°41′, 북위 39°49′∼40°04′에 위치하며, 면적 570㎢

  • 용천담적기 / 龍泉談寂記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신 김안로가 35가지의 이야기를 수록한 야담집. 1권(42장). 필사본.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 권8에 실려 있다. 『대동야승』과 『패림(稗林)』·『시화총림(詩話叢林)』에도 수록되어 있다. 『희락당문고』에서는 잡저로 분류되어 있다. 『용천담적기』는 김안로

  • 용천불이서선농장소작쟁의 / 龍川不二西鮮農場小作爭議 [역사/근대사]

    1925년부터 1932년까지 평안북도 용천 불이서선농장의 소작농민들이 벌였던 소작농민항쟁. 불이서선농장은 불이흥업주식회사가 1912년부터 용천군의 국유초생지와 간석지 5,000여 정보를 불하받아 간척사업을 일으킨 뒤 1915년에 완료한 개척농장이었다. 이곳으로 이주된

  • 용천서원 / 龍泉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장기리에 있는 서원. 서원은 16세기에 건립된 원천정(原泉亭)에서 출발하였다. 원천정은 1587년(선조 20)에 전팔고(全八顧, 1540∼1612)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경상도 거창에 세운 강학 공간이다. 임진왜란 때는 전팔고가 거창의 의병을

  • 용천신암리유적 / 龍川新巖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북도 용천군 신암리에 있는 신석기시대 만기(晩期)에서 고구려시대까지의 집터와 유물포함층 유적. 집터는 남쪽은 서벽 9m, 깊이 30㎝인 장방형 움집터로서 바닥은 진흙을 깔아 다졌다. 이 곳에서는 복원 가능한 토기 15점과 반달돌칼〔半月形石刀〕·돌살촉·돌도끼·달도끼〔

  • 용천온천 / 龍川溫泉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청진시 부윤구역 어유리에 있는 온천. 청진시의 부윤구역에는 나북천(羅北川)이 남동쪽으로 흘러 동해로 들어간다. 온천은 이 하천을 끼고 있는 어유리에 위치해 있다. 나남역에서 북서쪽으로 약 12㎞ 떨어진 곳이다. 온천의 이름은 지금은 없어진 용천동(龍川洞)에서

  • 용천평야 / 龍川平野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북서부의 압록강 하구에 펼쳐진 평야. 이 일대는 압록강과 삼교천(三橋川)에 의하여 이루어진 복합삼각주 지대로, 용천군ㆍ신의주시ㆍ의주군에 걸쳐 있는 평탄하고 비옥한 평야이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평야 일대는 도내 유수의 곡창을 이루어 쌀을 비롯한 보리ㆍ밀ㆍ수수

  • 용천향교 / 龍川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 용천군(현재의 염주군) 내중면 연곡동에 있는 향교. 1600년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문묘(文廟)·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교관실(敎官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