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용유도 / 龍遊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중구 용유동에 속하는 섬. 인천에서 서쪽으로 24㎞에 있다. 동경 126°∼51′, 북위 37°∼27′에 위치한다. 동쪽에 오성산(五星山, 172m)이 있다. 조차가 커서 연안에 간석지가 크게 나타나며, 썰물 때는 주변의 여러섬들과 연륙이 되었으나 인천국제공

  • 용인향교 / 龍仁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에 있는 향교. 1400년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그 뒤의 역사는 미상이나 6·25전쟁 때 일부 건물이 파손되었으며, 현존하는 건물은 5칸의 대성전과 삼문(三門)·강당 등이

  • 용작 / 傭作 [사회/촌락]

    품팔이를 고용하여 농사 짓는 것을 통칭하는 말. 우리 나라의 농업 생산양식은 소농적 생산양식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 노동력 동원 형태도 집약적인 가족노동형태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다소간 토지가 많은 부농이나 일손이 모자라는 농가에서는 수도재배가 가지는 집약적 노

  • 용장서원 / 龍章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 있는 서원. 고려 때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양능양(梁能讓)의 덕행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일원사(一源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면서 용장서원으로 개칭하였고 1302년(충렬왕 28)에 양주운(梁朱雲)을 추가

  • 용재집 / 容齋集 [언론·출판]

    이행(1478-1534), 목판본. 이 책은 10권 6책 이다. 1책에는 목록과 신간, 구간의 간기, 행장, 권1이 실려 있다. 2책은 권 2~3, 3책은 권 4~6, 4책은 권 7~8, 5책은 권 9~10과 소세양의 후서, 이안눌의 발, 정사룡의 <화남악창수집발>로

  • 용재총화 / 慵齋叢話 [문학/구비문학]

    조선전기 학자 성현이 고려로부터 조선 성종대에 이르기까지의 민간 풍속·문물 제도·문화·역사·지리 등 문화 전반을 다룬 잡록. 10권. 1525년(중종 20) 경주에서 간행되어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전해 오던 것이,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간행한

  • 용정굴 / 龍井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로리에 있는 석회동굴. 용정산의 능선에 있으며 해발 250m 지점의 북향사면에 있다. 총연장은 130m이고, 주동굴의 연장은 87m이다. 용정굴은 구조지층적면에서 사암 및 응회암동굴이며, 지형적 측면에서는 수직동굴이다. 동굴 속에는 종유관·종유석

  • 용주 / 龍州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용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옛 땅인데 발해의 침입으로 인하여 한때 여진족의 근거지였으나, 고려 초에 안흥군(安興郡)을 설치하였다. 1014년(현종 5) 용주방어사를 두었고, 그 뒤 용만부(龍灣府)로 고쳤다가 1311년(충선왕 3) 다시 용주로 바꾸어

  • 용주서원 / 龍州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파주시 월릉면 덕은리 용주동에 있는 서원. 1598년(선조 3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백인걸(白仁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사우(祠宇)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유생 정재심(鄭在心)이 사액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철폐되었으

  • 용지 / 龍池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 포남동 1138-8에 있는 연못. 강원도 기념물 제3호. 면적 710.9㎡, 못의 면적 210㎡이다. 1971년 12월 16일에 지정되었다. 현재는 625㎡가 포함되며, 기획재정부의 소유로 되어 있다. 건물의 비각은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비각의 정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