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김계렴 / 金啓濂 [종교·철학/유학]
1749년(영조 25)~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시형, 조부는 김상우, 부친은 가선대부 경상도관찰사 김화진이다. 외조부는 정리검, 두 명의 부인 파평윤씨와 전주이씨를 두었으며, 동생 김계락이 있다. 1774년(영조 50) 식년시에 생원 3등 46위로 합격하였으
김계휘신도비 / 金繼煇神道碑 [예술·체육/서예]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조선시대 문신 김계휘의 신도비.시도유형문화재. 전체 높이 350㎝, 비신의 높이 185.5㎝, 폭 85.5㎝, 두께 22.5㎝.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0호.김계휘 신도비가 있는 고정리에는 김계휘의 묘소 외에도 광산 김씨 가문의 유적이
김관주 / 金觀柱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관리(1743∼1806). 1772년 청명류사건을 홍봉한 일파의 사주로 보고, 홍씨의 척신정치를 비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되었다. 정조가 즉위하자 이 소는 당시 왕세손인 정조를 해치려는 음모로 비판되었고, 시벽당쟁의 원인이 되었다. 이후 정순대비가 수
김광두 / 金光斗 [종교·철학/유학]
1562(명종 17)∼1608(선조 41). 조선 중기의 문신. 유성룡의 문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에 정경세·이전·이준·전식·조정 등과 같이 함창·황령 등지에서 창의하여 의병을 모집, 왜군과 맞서 싸웠다. 1606년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효곡서원에
김광억 / 金光億 [종교·철학/유학]
1743년(영조 19)∼1799년(정조 23). 조선 후기 유학자. 공신 김회련의 후손으로 전라북도 정읍 태인면에서 출생하였다.《의례경전기의》·《계몽기의》등의 저술을 남긴 삼산재 김이안을 사사했다. 그의 문집《목촌유고》필사본 1책이 전한다.
김광엽 / 金光曄 [종교·철학/유학]
1561(명종 16)∼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어모장군병마만호 침, 어머니는 원주원씨로 승문원판교 수장의 딸이다. 1590년(선조 23) 생원시에 장원으로,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한 뒤 그해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과 예문관에 임
김광우 / 金光遇 [종교·철학/유학]
1707년(숙종 33)∼1781년(정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진사 진하이다. 1737년(영조 13)에 생원, 1749년 해주판관, 176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전적·병조좌랑·예조좌랑을 거쳐 함경아사를 지냈다. 그뒤 사헌부지평, 상주목사 등을
김광익 / 金光翼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여항시인(閭巷詩人).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천서(天瑞), 호는 반포암(伴圃庵). 이만수(李晩秀)가 쓴 「반포유고서(伴圃遺稿序)」에 의하면 군부(軍府)의 서리였다고 한다. 아들 김재명(金載明)도 유명한 여항시인으로 그의 시집 『반포유고』를 간행하였다.
김광찬 / 金光燦 [정치·법제/법제·행정]
1597(선조 30)∼1668(현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아버지는 부사 상관(尙寬)이며, 작은아버지인 좌의정 상헌(尙憲)의 양자로 들어갔다. 광해군 때는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있다가 1627년(인조 5)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음서(蔭敍)로
김교헌승급문서 / 金敎獻陞級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규장각부제학 김교헌(金敎獻)을 종2품 가선대부에 특승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 김교헌은 독립운동가이자 대종교 제2대 교주로 활동한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