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용마놀이 / 龍馬─ [생활/민속]

    전라북도 남원지방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이 놀이는 조선조 말엽까지 행해지다가 중단되었는데, 최근에 복원되어 재현된 바 있다. 이 놀이에 대한 기록이 옛 남원읍지인 ≪용성지 龍城誌≫에 전한다. 그 내용은 “고을 풍속에 옛적부터 악귀를 제어하고 재앙을 쫓는 외에 또 그해의

  • 용만잡흥 / 龍灣雜興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김극기(金克己)가 지은 한시. 5언고시 5수. 『삼한시귀감(三韓詩龜鑑)』·『동문선(東文選)』 등에 수록되어 있다. 「용만잡흥」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용만(龍灣)을 보고 느낀 감정을 시에 담아 읊은 것이다. 「숙향촌(宿香村)」·「전가사시(田家四時)」 등과

  • 용만지 / 龍灣誌 [종교·철학/유학]

    1768년(영조 44)에 편찬된 평안도 의주부(지금의 의주군) 읍지. 2책. 필사본. 내용 구성은 강역·건치연혁·군명·관직·성씨·풍속·토산·형승·산천·도서·방리·호구·전부·요역·성지·관방·진보·군액·봉수·학교·단묘·불우·관애·누정·창고·도로·교량·진선·제언·장시·어염

  • 용만행재문하삼도병진공한성 / 龍灣行在聞下三道兵進攻漢城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호민(李好閔)이 지은 한시. 칠언율시이다. 그의 『오봉집(五峰集)』 권4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선조의 행재소가 있는 의주의 용만에서, 적의 수중에 들어간 서울을 삼도의 군사가 공격한다는 소식을 듣고, 어려운 처지에 있는 국왕의 착잡한 심경을 절실하

  • 용맹강설 / 庸孟講說 [종교·철학/유학]

    사서류(四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3.8×20.9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중용강설(中庸講說)이다. 이재(李縡)의 ≪중용강설(中庸講說)≫(29장)과 ≪맹자강설(孟子講說)≫(29장, 공손축하(公孫丑下)부

  • 용문가 / 龍門歌 [문학/고전시가]

    1907년진주유씨(晉州柳氏)가 지은 규방가사. 480여 구의 비교적 장편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출가한 지 30년 만에 비로소 친정에 오게 된 감회와, 용문동(龍門洞)에서 모꼬지하는 즐거움을 노래한 것이다. 서두형식에서의 “어화 우리 친○분ᄂᆡ 일ᄌᆞᆼ 소회 드러보소.

  • 용문몽유록 / 龍門夢遊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신착(愼屢)이 지은 한문소설. 1책. 한문필사본. 표제의 좌측 상단에 종서(세로글씨)로 ‘夢遊錄(몽유록)’이라 적혀 있고 우측 상단에는 ‘金烏(금오)·龍門(용문)’이 두 행으로 적혀 있다. 「금생이문록 琴生異門錄」의 이본인 「금오몽유록 金烏夢遊錄」과 합철

  • 용문산 / 龍門山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과 옥천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157m이다. 산세가 웅장하고 계곡이 깊어 예로부터 명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용문사(龍門寺)를 비롯하여 윤필암(潤筆庵)ㆍ상원사(上院寺) 등의 사찰이 있다. 용문사는 649년(진덕여왕 3) 원효(元曉)에 의해서

  • 용문산 / 龍門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덕천시 장상동과 평안북도 영변군 용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180m이다. 묘향산맥 중의 남서부의 한 봉우리로 부근에는 많은 산봉들이 솟아 있다. 용문산의 능선은 대체로 동서로 뻗어 있으며, 중앙에 본봉이 가장 높이 솟고 동봉(東峰 1,032m)ㆍ서봉(

  • 용문서원 / 龍門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봉산리에 있었던 서원. 1583년(선조 1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여창(鄭汝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86년에 임훈(林薰)과 임운(林芸), 1642년(인조 20)에 정온(鄭蘊)을 추가 배향하였다. 166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