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용강향교 / 龍岡鄕校 [교육/교육]
평안남도 용강군 용강면(현재의 남포직할시 강서구역) 옥도리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강당·전사청(典祀廳)·치지재(致志齋)·신문(
용고서원 / 龍皐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원동에 있는 서원. 1795년(정조 1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의손(柳義孫)·유분(柳坋)·유숭조(柳崇祖)·유헌(柳軒)·송진문(宋振門)·이익렬(李翊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용곡서원 / 龍谷書院 [교육/교육]
평안남도 대동군 용산면(현재의 평양특별시 만경대구역) 용봉리에 있는 서원. 1658년(효종 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선우 협(鮮于浹)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3년(숙종 9) ‘용곡(龍谷)’이라는 사액을 받아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
용궁 / 龍宮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예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축산현(竺山縣, 또는 園山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예천군의 영현으로 하였다. 995년(성종 14)용주(龍州)로 승격하고 자사(刺史)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 자사를 파하였으며, 1012년(현종 3) 용궁군
용궁리공룡발자국화석산지 / 용궁리공룡발자국화석산지 [지리/인문지리]
황해북도 평산군 용궁리에 있는 화석. 북한 천연기념물 제466호. 이 지역의 중생대 지층에서 발견된 공룡의 발자국 화석을 말한다. 이 화석은 용궁리를 지나 평양∼개성간 고속도로의 대교굴과 붓골굴 사이 도로변 비탈면에 있다. 발자국 화석이 보이는 노두는 길이 약 100m
용궁부연록 / 龍宮赴宴錄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원본은 전하지 않고 일본 동경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 작자의 단편소설집 『금오신화』에 실려 있다. 주인공이 꿈속에 용궁으로 초대되어 가서 겪은 일을 주된 내용으로 한 작품으로서 구조유형상 몽유소설(夢遊小說)이라 부른다. 줄거
용궁설화 / 龍宮說話 [문학/구비문학]
수중세계(水中世界)의 왕궁인 용궁이 등장하는 설화. 용궁이 등장하는 이야기로는 『삼국유사』 수로부인조(水路夫人條)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수로부인이 임해정(臨海亭)에서 해룡에게 납치되었다가 귀환하여 해중(海中)의 일을 말하는 가운데 칠보궁전이 있고 음식이 맛있고 향기로웠
용궁향교 / 龍宮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400년(정종 2) 소실된 뒤 1512년(중종 7)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다시 소실되었다. 1603년
용남 / 龍南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통영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가야시대에 소가야에 속하였던 곳인데, 신라가 점령한 뒤 자고군(自古郡)을 설치하였으며, 경덕왕 때고성군으로 바꾸었다. 고려 때 거제에 예속시켰다가 뒤에 현령을 두었으며, 조선 태종 때 일부 지역을 거제의 관할로 하였다. 조선시대에
용눈이오름 / 龍─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에 소재하는 분석구. 용눈이오름이 소재하는 구좌읍 송당 일대의 동부 중산간지역은 다랑쉬오름·아끈다랑쉬오름·손자봉·은월봉·높은오름·아부오름·동거문오름 등 제주도에서 오름이 가장 높은 밀도로 분포하는 대표적인 오름지대이다. 산정 표고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