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외자도입법 / 外資導入法 [경제·산업]

    외국자본의 국내 유치 및 보호를 목적으로 1966년 8월 3일 제정된 법률(제1802호). 외자의존형 경제개발전략을 채택한 박정희정권은 상업차관의 누증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을 피하는 동시에 고용기회 창출, 선진기술 도입 등의 부수적 효과를 노려 외자도입법을 제정, 공

  • 외재궁여 / 外梓宮轝 [생활/주생활]

    외재궁을 모시는 수레. 외재궁은 임금이나 왕비의 장사에 쓰는 외곽을 말한다. 재궁은 임금이나 왕비의 유해를 안치하는 관을 말하고. 왕세자나 왕세자빈의 경우 재실이라 하였다.

  • 외재문집 / 畏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정태진의 문집. 석인본, 발:이가원(1961), 14권7책. 권1,2에는 143제 242수의 시가 실려 있는데,내용은 주변 자연경관을 묘사한 시 및 유산시 등이 특징적으로 보인다. 권2,3,4,5,6,7,8에는 서 171편이 실려 있는데,경서와 예론ㆍ성리설ㆍ상제 등 여

  • 외재이단하내외분옷 / 畏齋李端夏內外分─ [생활/의생활]

    조선 중기의 문신 이단하(李端夏)와 그의 부인이 입었던 17세기 옷과 부속품 6점. 이 유물은 조선 중기 문신 이단하(李端夏: 1625∼1689)와 그의 부인이 정경부인의 신분으로 입었던 복식과 수식류 6점이다. 유물은 이단하가 좌의정 시절에 입었다고 전해지는 중치막(

  • 외지제교 / 外知製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에게 교서 등을 기초하여 바치는 일을 담당한 관직. 고려시대의 외지제고가 개칭된 것이다. 조선 초기에 지제교를 겸임하게 되어 있는 승정원·사간원의 관원을 제외하고 따로 문관 10인을 선정하여 지제교를 겸임하게 하고 이를 외지제교라 하였다. ≪경국대전≫에는

  • 요가 / 요가 [예술·체육/체육]

    자세와 호흡을 가다듬고 정신을 통일·순화시켜 심신을 단련하는 수행법. 역사적으로 요가라는 용어는 기원전 600년경 『타이티리아-우파니샤드(Taityria-upanisad)』에서 처음 쓰였으며, 외부에서가 아닌 내부에서의 깨달음을 통하여 참된 자기[眞我]를 찾으려는 실행

  • 요계서원 / 蓼溪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목동리에 있었던 서원. 1694년(숙종 20)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화(金澕)·이상형(李尙馨)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5년(숙종 21)에는 김지순(金之純)과 김지백(金之白)을 추가배양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 요덕군 / 耀德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남서부 내륙지역에 있는 군. 동쪽은 정평군·금야군, 서쪽은 평안남도 맹산군·신양군, 남쪽은 고원군, 북쪽은 평안남도 대흥군·영원군과 접하여 있다. 동경 126°42′∼127°12′, 북위 39°29′∼39°25′에 위치하고, 면적 1,378㎢, 인구 3만 60

  • 요로원야화기 / 要路院夜話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숙종 때 박두세(朴斗世)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수필 형식의 단편산문. 1책. 필사본. 두 인물의 대화를 통하여 양반층의 횡포와 사회의 부패를 보여주는 것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향토 양반들의 실태와 그들의 교만성을 서울 양반에게 빗대어 지적한다거나 양반의 허세에

  • 요시다 기요나리 / 吉田淸成 [정치·법제/외교]

    1845-1891. 메이지 시대 외교관. 외상대리. 외무대보. 1874년 미국 주재 전권공사로 임명되었으며, 조약개정 교섭을 진행하였으며, 1879년에는 미.일 조약을 체결하였다. 1882년 외무대보로 승징하였다. 1883년 조선에 차관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