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외무부 / 外務部 [정치·법제/외교]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교를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 1919년 11월 5일 공포된 대한민국임시정부 관제에 의하여 처음으로 조직되었다. 행정사무를 맡아보는 비서국과 외교사무를 담임하는 외사국, 통상관계를 담임하는 통상국 등 3국이었는데, 외사국이 핵심적 기관이었다.
외무아문 / 外務衙門 [정치·법제/외교]
구한말 외무행정을 관장하던 중앙행정관청. 외무아문의 직제는 대신 1인, 협판 1인, 참의 5인, 주사 20인을 두고, 그 아래에 총무국, 교섭국, 통상국, 번역국, 기록국, 회계국 등 6국을 설치하였다. 총무국은 서무를 총괄하던 곳으로서 참의 1인, 주사 1인을 두고,
외방별과 / 外方別科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울 이외의 지방에서 시행한 특별 과거. 평안도·함경도 등의 변방이나 왕의 행차가 잦은 온양·수원·강화도 등지에서 많이 행해졌다. 본래 취지는 변방 무사들의 노고를 위로하고 선비들을 격려하기 위해 시행한 것이다. 1456년(세조 2) 왕이 평양에 행차하여 문
외방장계(승정원개탁) / 外方狀啓(承政院開坼) [정치·법제]
1868년(고종 5) 2월 11일. 어느 외방의 도신이 국왕인 고종에게 교서의 반포와 관련하여 올린 장계. 내용은 '북부의 도사 조병업이 가지고 온 교서 1통을 도내의 각 고을에 다 반포한 뒤, 원교서를 감봉하여 올려보낸다.'고 하였다. 이 문서는 승정원을 거쳐서 국왕
외부 / 外部 [역사/근대사]
1895년 4월 외무아문을 개칭하여 외무행정을 관장한 중앙관청. 소속관청으로는 대신관방, 교섭국, 통상국 등을 설치하였고, 공사관, 영사관, 감리서 등을 부속기관으로 관할하였다. 외부대신은 왕이 직접 임명하는 칙임관으로, 외국에 관한 정무를 시행하고 외국에 거주하는 우
외선온 / 外宣醞 [정치·법제]
임금이 신하를 위로하거나 격려하기 위해 승지를 통해 내리는 술. 국가의 중요한 행사나 임무를 마친 신하에게 내린다. 선온을 내릴 때는 절육, 편육, 과실 등의 음식을 같이 보내었다. 선온은 이를 전하는 관리에 따라 내선온과 외선온으로 구별하였는데 내선온은 내시를 통해
외설설화 / 猥褻說話 [문학/구비문학]
남녀간의 난잡하고 부정한 성생활을 소재로 한 이야기. 원칙적으로 이런 종류의 이야기들은 소담의 각 유형, 예컨대 사기형(詐欺型)·기지형(機智型)·과장형(誇張型) 등에 배속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내용들이 비교육적이고, 또 청자와 구연 장소에 제약이 따른다는 점을 고
외아전 / 外衙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 관서의 아전. 외아전에는 서원·일수·나장·차비군 등이 있었는데, 통칭하여 향리라고 하였다. 향리는 원래 고려 성종 때 호족을 낮춰 불러 명명한 것이다. 고려 후기까지만 해도 지방의 실질적인 지배자로서 관리의 공급원이었다.
외암집 / 畏巖集 [종교·철학/유학]
신의명의 시문집. 서 : 류규영(1915), 김세락(1916). 발 :권상익(1917). 3권 1책. 권1에 한시 28수, 만시 31편. 권2에는 전 1편, 서 17편이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는 우애가 남달랐던 백형 만암공에게 올린 서찰 7편과 아들 욱에게 보낸 서찰
외연도 / 外煙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04′, 북위 36°14′에 위치하며, 대천에서 서쪽으로 40.6㎞ 지점에 있다. 면적은 1.53㎢이고, 해안선 길이는 8.7㎞이다. 주변의 횡견도(橫見島)·대청도(大靑島)·오도(梧島)·수도(水島)·황도(黃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