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지리 > 인문지리 총 1,52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지리 > 인문지리
지역혁신정책 / 地域革新政策 [지리/인문지리]
한 지역 내에서 새롭고 경제적으로 유용한 지식의 창출·확산·활용을 촉진하려는 정책. 지역 내에서 ‘새롭고 경제적으로 유용한 지식의 창출, 확산, 활용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요소들과 그 요소들의 상호작용 관계’ 또는 ‘지역 내 여러 경제 주체들이 지역의 생산과정이나 새로운
지지 / 地誌 [지리/인문지리]
특정 지역의의 인문지리적 현상을 분류·연구 기록한 서적.지리지. 지지(地誌)는 특정한 기준에 따라 정해진 범위의 지역에 대해 일정한 항목과 규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서술하여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책이다. 우리나라의 지지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백제
지평군읍지여지도 / 砥平郡邑誌與地圖 [지리/인문지리]
군수 이재하가 경기도 지평군(현 양평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읍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1899년에 이재하가 편찬한 『지평군읍지부선생안(砥平郡邑誌附先生案)』이 장서각 도서에
지하철 / 地下鐵 [지리/인문지리]
고속전철 체계에 의하여 도심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하의 전용차선으로 운행되는 도시전철. 1974년 서울에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된 이래 2011년, 한국의 지하철은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 등 6개 대도시에 17개 노선 537㎞의 도시철도가 운행되고 있다. 19
지형도 / 地形圖 [지리/인문지리]
지표의 형태 및 지표에 분포하는 사물을 정확하고 자세하게 나타낸 대축척 지도. 원래 토포그러피(topography)라는 영어에서 번역된 용어이며 토포그러피란 소지역을 기술한다는 뜻과 땅의 모양, 즉 지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형도는 땅의 형태, 즉 산·강
직산 / 稷山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천안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수도 위례성(慰禮城)이라는 설이 있는데, 백제의 시조인 온조가 졸본부여(卒本扶餘)로부터 한반도에 남하하여 이곳에서 개국하고 도읍하였다고 한다. 뒤에 고구려가 취해서 사산현(蛇山縣)으로 고쳤고, 757년(경덕왕 16)에는 그대로
청령포 / 淸泠浦 [지리/인문지리]
비각. 강원도 영월의 청령포(淸泠浦)는 단종이 머물던 곳이다. 1763년(영조 39) 9월에 왕이 친히 쓴 '단종께서 본부에 계실 때의 옛 터(端宗在本府時遺址)'라는 여덟 글자를 비석에 새겨 세우도록 하였다. 이후 영조의 어필이 봉안된 비각이 파손되자 1791년(정조
충청도 / 忠淸道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이름. ‘충청’은 충주와 청주의 머리 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이다. 1550년(명종 5)에 청공도로 바꾸고, 1613년(광해군 5)에 공청도로, 1628년(인조 6)에 공홍도로, 1646년에 홍충도로, 1656년(효종 7)에
택리지 / 擇里志 [지리/인문지리]
1751년(영조 27) 실학자 이중환이 현지 답사를 기초로 하여 저술한 우리 나라 지리서. 1책. 필사본. 조선광문회에서 이중환 찬, 최남선 교로 민제호 장본에 의거하여 1912년에 신활자로 인쇄, 간행하였다. 내용은 1753년에 쓴 정언유의 서문이 2면에 걸쳐 있고,
함경도 / 咸鏡道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와 함경북도를 통칭하는 지명. 함경이란 함흥과 경성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지명이다. 1470년(성종 1)에 함흥을 강등하고 본영을 영흥으로 옮겨 영안도, 1509년(중종 4)에 함흥부 및 관찰영을 복구하고 함경도로 개칭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23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