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총 1,8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음악 / 音樂 [예술·체육/현대음악]
예술의 한 분야. 박자와 가락, 음성 등을 다양한 형식으로 조화하고 결합하여, 목소리나 악기를 통해서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의 하나이다.
음악무용서사시 / 音樂舞踊敍事詩 [예술·체육/무용]
음악과 무용을 기본으로 하여 거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서사시적 화폭에 담아내는 대규모의 종합예술형식. 195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0주년을 기념하여 음악무용서사시 「영광스러운 우리 조국」이 처음 공연되어 인민상 계관작품으로 선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피바다’
의리적 구투 / 義理的 仇鬪 [예술·체육/영화]
한국 영화사의 기점을 이루는 최초의 작품. 1919년 10월 27일 개봉되었는데, 오늘날 이 날을 기념하여 '영화의 날'을 제정하였다. 이 영화는 연쇄활동사진극으로서 연극을 하다가 연극으로 나타내기 어려운 부분을 활동사진으로 연쇄적으로 상영하였다. 따라서 완전한 영화
의물 / 儀物 [예술·체육/무용]
정재를 상연할 때 의장으로 쓰이는 여러 가지 물건. 의식에 쓰이는 도구나 물건, 즉 의장 중에서 최근까지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지고 사용되는 당악정재(唐樂呈才)의 의물과 일부 중요의물을 『악학궤범』에 의거하여 소개하면 죽간자(竹竿子), 인인장(引人杖), 용선(龍扇), 봉
의암별제가무 / 義巖別祭歌舞 [예술·체육/무용]
1868년(고종5) 진주성 촉석루에서 연행되기 시작한 논개 제사용 노래와 춤. 정현석이 1867년(고종4) 진주목사로 부임하여 이듬해 의기사(義妓祠)를 중건하고, 그해 6월의 좋은 날을 택해서 ‘의암별제’를 유교식으로 거행했다. 제사에는 3인의 제관(祭官) 이하 필요한
의열묘도 / 義烈墓圖 [예술·체육/회화]
의열묘역을 중심으로 외반식의 경물 구성에 산세의 보양을 방향별로 실경산수화풍에 가깝게 그린 그림. 18세기 유행한 진경산수화의 미점법을 활용하여 묘사, 정선의 소나무 묘법이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묘역 왼편으로는 전답, 가장자리 쪽에는 가옥 몇 채에 가을 분위기를 보
의열묘산도 / 義烈墓山圖 [예술·체육/회화]
의열묘의 풍수적 지세를 그린 산도의 형식의 그림. 산도는 채색 없이 수묵으로 그리는 것이 관행이었다. 안현(鞍峴)은 태조산으로 하여 아래로 간룡과 감룡의 지세가 굴곡을 이루며, 그 끝 자락에 혈이 위치하는 형세이다. 좌우로는 청룡과 백호가 감싸는데 우측 백호 쪽은 공간
이갑조 / 李甲祚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1901∼1974.경상남도 통영에서 태어나 태평동에서 살았다. 17세 때부터 노덕규(盧德奎)로부터 피리·대금·해금·장구를 배웠고,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이균상 / 李均相 [예술·체육/건축]
1903년(광무 7)∼1985년. 건축학자. 본관은 정읍(井邑)이다. 일제강점기하의 유일한 한국인 건축과 교수이다. 1925년 경성고등공업학교 재학 중 오가와(小河弘道)의 도움을 받아 조선총독부에 들어갔다. 박길룡(朴吉龍)과 함께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본관(현존), 경성
이긍세 / 李絚世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생체역학』·『체육학연구법』·『기초체육교육』 등을 저술한 학자. 체육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충청남도 당진 출생. 1955년 인천고등학교, 1960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운동역학을 전공하여 이학석사와 공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