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명월진 / 明月鎭 [지리/인문지리]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에 위치한 조선족 집거지역. 명월진은 화동(華東), 성동(城東), 명동(明東), 신안(新安), 흥화(興華), 원예(園藝) 등 53개의 행정촌(村)과 73개의 자연마을[屯]을 관할하고 있다. 주요 거주 민족은 한족, 만족, 조선족이다.

  • 명천읍지 / 明川邑誌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명천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편년 미상의 『명천읍지』 1책이 국립중앙도서관, 1872년 명천부에서 편찬되어 일제강점기 때 필사된 『명천부읍지』 1책이 국사편찬위원회에 있다. 내

  • 모건 / Edwin V. Morgan [정치·법제/외교]

    1865-1934. 미국외교관. 주한 미국공사. 1905년 루즈벨트는 주한 미국공사 알렌을 해임하고 그의 후임으로 모건을 임명하였다. 그는 임명된 직후 청국에 갔다가 9월 19일 서울로 돌아왔다. 모건은 1905년 11월 28일 주한 미국공사관 철수를 결정하고 12월

  • 모더니즘 / modernism [문학/현대문학]

    인간성 상실에 대한 문제의식 등에 기반을 둔 다양한 문예사조. 우리 나라에 모더니즘이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1924년 무렵이다. 광복 후, 1950년대 후반기에는 영미 주지주의 이론의 재평가와 더불어 모더니즘의 새로운 진전을 보였다.

  • 모던걸 / 모던걸 [사회/사회구조]

    1920∼30년대 경성의 소비문화 형성과 함께 나타난 새로운 서구적 스타일과 의식의 여성들을 지칭하는 담론. 일본을 경유해 이입된 서구 근대 문화의 영향 아래, 1920∼30년대 경성에는 소비와 향락의 일상 공간이 남촌의 대표적 장소인 본정(本町)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 모던보이 / 모던보이 [사회/사회구조]

    1920년대 식민지 경성의 도시공간에 나타난 새로운 스타일의 남성 소비주체를 지칭하는 담론. 1920년대 중반에서 1930년대 중반 사이 식민지 경성의 대중문화와 소비문화 영역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새로운 근대주체는 식민지 조선의 인구학적 변화 및 생산성의 증대, 도시

  • 모리 아리노리 / 森有禮 [정치·법제/외교]

    1847-1889. 일본 외교관. 주청 일본공사. 강화도조약과 관련하여 이홍장과 협상. 1870년 소변무사에 임명되어 초대 미국공사가 되었다. 미국공사 외에도 외무대보를 역임하였다. 1875년 일본정부는 모리를 주청 일본공사에 임명하였다. 1879년에는 영국공사로 취

  • 모리야마 시게루 / 森山茂 [정치·법제/외교]

    1842-1919. 일본 외교관. 외무성 출사. 이사관. 외무성 설치 직후 조선 업무를 담당함. 1869년 7월 모리야마는 외무성 설치와 함께 외무소록이 되었다. 1874년 외무소승이 되었다. 일본정부는 모리야마를 부산에 파견하여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였다. 1

  • 모아쓰기 / syllabic writing system [언어/언어/문자]

    한글 자모(字母)를 음절 단위로 조합하여 적는 표기 방식. 모아쓰기는 ‘곰’과 같이 한글 자모를 음절 단위로 모아 쓰는 표기 방식이다. ‘ㄱㅗㅁ’과 같이 한글 자모를 나란히 배열하는 방식은 풀어쓰기라고 한다. 모아쓰기는 전통적인 한글 표기 방식으로서 『훈민정음』에 구체

  • 모토노 이치로 / 本野一郞 [정치·법제/외교]

    1862-1918. 일본 외교관. 주러시아 일본대사. 러시아정부로부터 한국 강점을 승인 받음. 1890년 일본으로 귀국하여 외무성에서 번역관이 되었다. 1898년에는 벨기에공사, 1901년 12월 프랑스공사, 1906년 1월 러시아공사가 되었다. 1907년 러시아공사관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