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2,1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 정원전교 / 政院傳敎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조령·주의류(詔令·奏議類) 승정원(承政院) 서, 조선사편수회편, 신연활자본, 영인본, 조선총독부, 1934, 2권 3책. 1592년 7월 14일부터 1607년 2월 7일간 승정원에서 선조의 명을 받아 유성룡에게 발급한 77통의 유지로, 유성룡가에 소장되

  • 정은모 / 鄭殷模 [종교·철학/유학]

    1870년(고종 7) 5월 15일∼1953년. 일제강점기 유학자‧독행(篤行). 자는 주현(周顯), 호는 운림(雲林), 본관은 동래(東萊), 포내리(浦內里) 출신이다. 과거에 뜻을 두었으나 혼탁해져가는 세상을 보고 집에서 효도하고 제사를 받들고, 자신을 깨끗하게 하는 일

  • 정의 / 淨義 [종교·철학/불교]

    1856년(철종 7)∼1936년. 한말의 학승(學僧)이며 율사(律師). 호는 동선(東宣), 출신지는 경상북도 안동으로 안동김씨(安東金氏)이다. 18세에 출가하여 보월화상(寶月和尙)으로부터 구족계를 받았다. 1891년 유점사‧반야암(般若庵)에서 강석(講席)을 열어 학인들

  • 정인보 / 鄭寅普 [교육]

    항일기의 한학자·교육자(1892∼?). 1912년 상해로 건너가 신채호·박은식 등과 함께 동제사를 조직하였다. 1936년 연희전문학교 교수가 되어 한문학·국사학·국문학 등의 강좌를 담당하였다. 1947년 국학대학 학장에 취임하였다. 1948년 대한민국이 수립되자 행정

  • 정일헌시집 / 貞一軒詩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여류문인 정일헌 남씨의 시 57수와 제문 1편을 수록하여 1923년에 간행한 시집. 1권 1책. 1923년 그의 양자 성태영(成台永)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건창(李建昌)의 서문과 권말에 이건승(李建昇)의 발문이 있다. 저자의 시는 많았다고 하나 동학난

  • 정정증부신구잡가 / 訂正增補新舊雜歌 [문학/고전시가]

    한인석이 유흥의 장 및 일반에 유행하던 노랫말을 수록하여 1914년에 간행한 가집. 목록에서는 제일회에 「추풍감별곡」을 싣고, 제이회에서는 「자운가」, 제삼회에서는 「춘면곡」에 이어 「진정부」·「청루원별곡」 등의 순으로 싣고 있으나, 본문에서는 이러한 제일회, 제이회

  • 정종명 / 鄭鍾鳴 [정치·법제/정치]

    1895년(고종 32)∼미상. 여류 독립운동가·간호원. 전라남도 목포 출신. 1922년 4월 1일 동지 여자고학생상조회를 서울에서 조직, 1925년 5월에 박원희·김필애 등 20여명과 조선여성동우회를 서울에서 조직 운영하기 시작, 이들이 곧 뒷날 근우회를 조직하고 항일

  • 정종호 / 鄭宗鎬 [종교·철학/유학]

    1875년(고종 12)∼1954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 부친 정재설과 모친 재령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노상익의 딸이다. 중부 정재기, 결혼 후에는 노상익·노상직에게 학문을 배웠다. 파리장서 사건 때 본문을 칠곡군에 있는 장석영으로부터 받아서 대구의 윤상태에

  • 정진한 / 鄭鎭漢 [종교·철학/유학]

    1867년(고종 4)∼1947년. 한말의 의병. 영천의병장 환직의 재종질이다. 1905년 일제에 의하여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이를 계기로 고종의 밀명을 받은 정환직은 아들 용기에게 거의할 것을 명하였다. 정진한은 이때 정용기·이한구·손영각 등과 함께 거의계획을 세우게

  • 정태복 / 鄭泰復 [종교·철학/유학]

    1888년(고종 25) 10월 1일~1960년 1월 18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1917년 9월 광복회원이 되었다. 중국 상해에서 가져온 문건을 이재덕과 함께 자신의 집에서 200여 매를 등사, 문건을 서울과 경상도 전역, 그리고 충청남도 지방에 거주하는 부호들에

페이지 / 21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