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총 2,1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절제 / 節制 [언론·출판/언론·방송]
1931년 1월 23일에 경성 조선여자 기독교 절제회 엽합회에서 창간한 잡지. 국한문 4단으로 내리 편집하여 부정기적으로 발행하였다. 이 잡지의 내용은 권두언, 논설, 보고, 잡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충주의 / 折衷主義 [문학/현대문학]
계급주의 문학론과 민족주의 문학론을 조화시킨 중도적 문학이론. 절충주의는 당시 이념적인 분열 상황을 극복하려는 당위성을 가지고 주장되었으나 구체성이 빈약하여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또한, 절충주의가 국민문학의 변종이었으므로 반계급문학을 본질로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양
정경옥 / 鄭景玉 [종교·철학/개신교]
1903년∼1945년. 감리교 목사·조직신학자. 전라남도 진도 출신. 1927년 감리교신학교 졸업 후 미국 개렛신학교에서 수학. 1929년 다시 노스웨스턴대학원에 입학, 문학석사학위를 받고, 1931년부터 1937년까지 감리교신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3
정규창 / 丁奎昌 [종교·철학/유학]
1872(고종 9)-1949. 아버지는 정춘섭, 어머니는 평해신씨이다. 젊어서부터 늙을 때까지 오직 학문을 익히고 몸을 수양하는 것을 평생의 업으로 삼았다. 용산 이만인에게 학문의 요체를 배웠으며, 간혹 과거공부를 하였지만 좋게 여기지 않았고, 한 번 서울에 시험을 치
정돈섭 / 丁敦燮 [종교·철학/유학]
1870년(고종 7) 3월 17일∼1947년 6월 14일.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가. 증조는 정의찬, 조부는 정원교이다. 부친 정대진과 모친 이개립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박기양의 딸이다. 이병호의 문하에서 수학, 곽종석에게 나아가 주돈이의 태극통서를 공부하였다
정산종사법어 / 鼎山宗師法語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 교서의 하나. <원불교교전> 다음으로 중요시되는 교서이다. 원불교의 2대 교주 정산 송규가 친제한 법문과 제자들이 수필한 법문들이 수록되어 있다. 제1부 세전, 제2부 법어로 구성되어 있다. <세전>은 태교부터 출생, 교육, 결혼, 열반 등 도리강령, <법어>는
정선조선가곡 / 精選朝鮮歌曲 [문학/고전시가]
경성신구서림에서 심송욱의 시조 380수를 수록하여 1914년에 간행한 시조집. 대부분의 시조집과 같이 곡조별(曲調別)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차는 우조(羽調)·계면조(界面調)·우평조(羽平調)·계평조(界平調)·작가씨명(作家氏名)이 있고 다음에 본문, 그 뒤에 작가의 약력이
정선조선어문법 / 精選朝鮮語文法 [언어/언어/문자]
1930년 조선어연구회에서 조선어문법의 일반적인 특성을 기술하여 펴낸 책. 내용은 권두에 ‘조선말글법의 법[朝鮮語文法之法]’을 시작으로 ‘소리[音], 소리의 갈래[音의 分類], 소리의 바꾸임[音의 轉換], 말(이름말)[詞 - 名詞], 꼴말[形詞], 움즉임말[動詞], 겻
정신대 / 挺身隊 [역사/근대사]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인이 자행한 강제인력수탈 중의 하나. 정신대는 어떤 목적을 위해 솔선해서 몸을 바치는 부대라는 뜻으로 일제가 전쟁을 위해 동원한 인력 조직이었다. 남녀 모두 그 대상이 되었는데, 농촌정신대·보도정신대·의료정신대·근로정신대 등이 있었다. 이 중에서 여
정와집 / 靜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석철의 문집. 목활자본. 서: 정종로, 발: 이승연. 조학수. 8권 4책. 1926년 경북 상주의 와연당에서 간행하였다. 서는 주로 사우간에 안부를 묻고 간단한 용건을 다룬 것이다. 「동유기행」은 황산에서 달성, 조령, 청도, 부산, 해운대 등을 돌아보고 경치와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