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송규렴 / 宋奎濂 [정치·법제/법제·행정]
1630(인조 8)∼1709(숙종 35).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군수 남수(枏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성균관학유(成均館學諭) 희원(希遠)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국전(國詮)이며, 어머니는 안경인(安敬仁)의 딸이다. 대표적인 관직으로는 이조참의,
송규필 / 宋奎弼 [종교·철학/유학]
1780년(정조 4)∼1847년(헌종 13).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조부는 송진복, 부친은 송계주.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경전과 사서를 두루 익혔다. 입재 정종로 문하에서 위기지학을 익히며 성리학에 뜻을 두었다. 1814년(순조 14) 식년시 병과 11위로 급제한
송근수 / 宋近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8∼1903). 1882년(고종 19) 조미수호통상조약체결교섭에 반대하여 사직소를 올렸고 기독교의 폐해를 지적하였다. 대사헌·병조판서·좌의정 등 요직을 두루 지냈다. 저서로《송자대전수차》가 있다
송기태 / 宋基泰 [정치·법제/법제·행정]
송기태(1629~1711) 조선후기 문신. 본관이 은진으로 송시형의 아들로 태어나 주자학의 대가 송시열에게 입양되었으며 용안현감, 은진현감, 금산군수, 군기시부정, 예빈시정 등을 지냈다.
송내희 / 宋來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1∼1867). 1838년(헌종 4) 경연관에 임명된 이후 장령·집의를 역임하였다. 뛰어난 학행으로 성균관좨주로 천거되었으며 후에 여러 관직을 거쳐 벼슬이 대사헌에 이르렀다. 저서로《금곡문집》이 있다.
송능상 / 宋能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1758). 송시열의 현손으로 한원진의 문인이다. 1739년 5월 송인명의 천거로 시강원 자의가 되었다. 1750년 정우량이 우리 나라의 도통에 김장생을 넣지 않고, 윤증 부자를 언급하자 노론의 입장에서 도통에 대해 아뢰었다. 1752년 장
송달수 / 宋達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58). 송시열의 8대손이다. 교관을 거쳐 1847년 6품직에 올랐고, 1852년에 경연관·사헌부 지평·장령·부호군을 역임했으며, 1855년 승지에 이어 이조참의에 이르렀다. 성리학에 있어서는 주로 이이의 설을 따랐으며, 사람과 사물의
송덕기 / 宋德基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 태껸 전승자로 지정된 기능보유자. 12세 때 택견의 명인 임호(林虎)를 만나 수련하였다. 당시에는 택견이 일종의 민속놀이 형태로 보급되었으며, 수련장소도 사직공원 위쪽 인왕산 밑의 황학정(黃鶴亭) 근처의 공터를 활용하였고, 지역별로 편
송덕부 / 宋德溥 [종교·철학/유학]
1603(선조 6)∼1674(현종 15). 아버지는 이진, 어머니는 진주강씨이다. 정가공 서의 후손으로 조부는 종이고 부친은 이진이다. 어머니는 강여황의 딸이다. 1603년(선조 36) 8월 17일 덕동리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자질이 남달리 총명하여 5~6세에
송덕상 / 宋德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1783). 1753년 좌의정 이천보의 천거로 세자익위사세마에 임명되었다. 이 후 자의·조지서별제 등을 거쳐 1767년 사헌부지평에 임명되었다. 정조가 즉위한 뒤 홍국영의 뒷받침으로 1776년 동부승지·이조참의·예조참의·한성부좌윤·좨주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