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경성군읍지 / 鏡城郡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함경북도 경성군 읍지. 1책. 지도가 붙은 사본. 표지에는 '咸鏡北道鏡城郡邑誌(함경북도경성군읍지)'로 되어 있다. 종래 전해오던 경성의 읍지를 참고하고 갑오(甲午)·을미(乙未) 개혁 후 지방행정에서 변경된 내용을 읍지 기록 순서에 따라서 ‘원(原)

  • 경성남문 / 鏡城南門 [예술·체육/건축]

    북한 함경북도 경성군 경성읍에 있는 조선시대 에 개축된 경성읍성의 남쪽 문(門).성문. 경성읍성(鏡城邑城)의 남문이다. 축대의 길이 16. 5m, 너비 11m, 높이 7m, 문루의 1층이 정면 5칸(13. 5m), 측면 3칸(8.05m)이며, 2층이 정면 4칸, 측면

  • 경성대학교 / 慶星大學校 [교육/교육]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1955년 5월에 목사 김길창(金吉昌)이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교육자 양성을 목적으로 경남사범대숙을 설립하였다. 1963년 한성여자실업초급대학으로 개편되었고, 1979년 부산산업대학으로 승격되어 11개 학과를 설치하

  • 경성만 / 鏡城灣 [지리/자연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청진시 고말산단과 경성군 어대진읍(지금의 어랑군 어랑단)사이에 있는 만. 신생대 제3기 말∼제4기 초의 구조운동에 의하여 내려앉아 이루어진 만이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조로우나 깊으며, 해안선의 길이 88㎞, 어구의 너비 42.2㎞, 깊이 14

  • 경성반송정임수 / 京城盤松亭林藪 [경제·산업/산업]

    서울의 서대문 밖 의주가로의 서쪽에 해당하는 천연동 연지(蓮池) 부근의 평탄지에 발달하여 있었던 숲. 조선 초까지만 하더라도 울창한 소나무숲이었다고 전한다. 고려 말의 강회백(姜淮伯)의 시에 의하면 “여왕(麗王)이 경성에 행차할 때 비가 내려 이곳 반송정 숲에서 비를

  • 경성백목련 / 鏡城白木蓮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경성군 하온포리에 있는 백목련. 경성군 하온포리 온천요양소의 정원 안에서 자라고 있는 백목련으로 북한의 천연기념물 제429호. 이 백목련은 목란과의 넓은잎키나무이며, 암수의 생식세포가 한 그루에 있는자웅동주(雌雄同株)의 활엽(闊葉)교목(喬木)

  • 경성신문 / 京城新聞 [언론·출판/언론·방송]

    1898년에 창간된 상업신문. 주 2회간으로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에 발행되었으며, 순국문만을 사용하였고, 소형판 2면으로 편집체재는 3단제를 택하였고, 1단은 36행, 1행은 20자였다. 『독립신문』과 대체로 비슷한 편집방식을 사용하여 제호 밑에 논설을 싣고, 이어 관

  • 경성온천 / 鏡城溫泉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읍(지금의 하온포리)에 있는 온천. 여러 곳에서 자연 용출되는 온천지대로서 지역적인 지열류량은 60∼80mWm-2를 나타내며, 해양성의 온화한 기후조건 덕택으로 요양소가 자리 잡고 있다. 온천수의 구성성분은 규산 55.5ppm이며 HCO3ㆍNaㆍK

  • 경성읍성 / 鏡城邑城 [예술·체육/건축]

    북한 함경북도 청진시에 있는 고려전기 에 축조된 성곽.읍성. 1107년(예종 2)에 처음 쌓았고, 1616(광해군 8)∼1672년(현종 13)간에 개축하였다. 이 성은 북으로는 청진, 남으로는 길주 방면으로 통하는 교통상 요충지로서 큰 길이 동문과 서문을 통하게 된 방

  • 경성일보 / 京城日報 [언론·출판/언론·방송]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에 걸쳐 조선총독부 기관지로 경성에서 발행된 일어신문. 《한성신보》와《대동신보》를 합병시켜, 1906년 9월 1일에 창간하였다. 창간 당시는 국한문판과 일문판으로 발행하였으나, 1907년 4월 21일부터 국한문판은 중지하고(국한문판 지령 185호)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