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마건충 / 馬建忠 [정치·법제/외교]

    1845-1900. 중국 청말 양무파 관료. 임오군란 개입. 이홍장의 막료로 1882년 묄렌도르프와 조선에 들어온 인물이다. 1877년 곽숭동의 번역관으로 근무하면서 파리정치학원에 입학하여 학습하였다. 1879년에는 후임 공사 증기택의 번역관으로 근무하였다. 1882년

  • 마루야마 시게토시 / 丸山重俊 [정치·법제/외교]

    1855-1911. 일본 경찰. 대한제국 경무 고문. 1883년 9월 구마모토현 경부. 경찰본서 사법부장으로 재직하였다. 1887년 12월 검사로서 아쓰타 치안재판소에서 일하였다. 1902년 일본 경시청 제1부장 겸 소방서장으로 재직하였다. 1905년 초에 한국정부가

  • 마르크스주의 역사학 / Marx主義歷史學 [교육]

    일제의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항하여 마르크스의 사적유물론에 입각, 한국사를 연구한 역사연구의 총칭. 1920년대 후반 이후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지평을 크게 확장시켰다. 대표적 학자는 백남운, 이청원, 김광진, 이북만 등이며,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을 우리나라 근대사학의 한

  • 마산포조차사건 [정치·법제/외교]

    1894년부터 1900년까지 러시아정부가 마산포의 토지 매임을 시도, 1900년 3월 한국정부와 마산포 관련 협정을 체결하면서 그간의 시도를 실행에 옮긴 사건. 러시아는 1899년 마산포 조차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러시아는 1900년 3월 30일 주한공사 빠블로프를

  • 마산항 / 馬山港 [경제·산업/교통]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항구. 1898년 5월 개항되었다. 러시아가 남하정책에 의하여 군항으로 개발하려는 것을 영국과 일본이 이를 저지하기 위하여 개항되었다. 그러나 1913년 일본은 식민지 통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개항장을 폐쇄시켰는데, 1949

  • 마시탄의거 / 馬嘶灘義擧 [역사/근대사]

    1924년 참의부 독립군이 총독 사이토를 저격한 의거. 일본 총독 사이토가 국경지방을 순시한다는 정보를 입수한 참의부에서는 이 기회에 총독을 사살하여, 한민족의 독립의지를 전세계에 알리고자 하였다. 강계군 마시탄 맞은편 절벽 위에서 총독순시선을 향해 사격하였으나 사정권

  • 마의태자 / 麻衣太子 [문학/현대문학]

    이광수(李光洙)가 지은 역사소설. 926년 5월부터 1927년 1월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었고, 1928년 1월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그의 두번째 역사소설이다. 신라의 마지막왕 경순왕이 고려 태조 왕건에게 항복하려 하자, 금강산으로 입산하여

  • 마이산탑 / 馬耳山塔 [종교·철학/불교]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마이산의 탑사에 있는 돌탑무리. 전라북도 기념물 제35호. 1885년경에 임실에 살았던 처사 이갑룡이 수도하기 위하여 마이산 밑으로 이주한 뒤 108기의 석탑을 30여년에 걸쳐서 혼자 축조하였는데, 지금은 약 80여기가 남아 있다. 이 탑

  • 마작 / 麻雀 [생활/민속]

    보통 네 사람이 상아나 골재(骨材)에 대쪽을 붙인 136개의 패를 가지고 여러 모양으로 짝짓기를 하여 승패를 겨루는 실내오락. 우리 나라의 마작은 갑오경장을 전후하여 외국을 내왕하던 인사들에 의하여 보급되었지만, 놀이기구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극히 일부 사람들만이 즐기고

  • 마전군읍지 / 麻田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마전군(현 연천군 미산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필사본. 표지에는 ‘麻田邑誌(마전읍지)’로 되어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 마전군에서 편사(編寫)한 이본(異本) 1책과 고종 연간 편찬된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