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총 2,1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장현근 / 張鉉謹 [역사/근대사]
1909-미상. 항일기 의 독립운동가. 1909년 9월 19일 음성읍(陰城邑) 신천리(新泉里)에서 출생하였다. 1927년 전라북도 정읍시 토리교회 주일학교 교사로 재직하며 항일정신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데 전력하였다. 1929년 9월 안창호(安昌浩)와 함께 항일 독립운동
장형 / 張炯 [역사/근대사]
1889-1964. 항일기의 독립운동가·교육자. 호는 범정(梵亭). 평안북도 용천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다. 1910년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만주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군자금 조달에 공을 세웠다. 1946년 국민동지회 회장이 되었고, 1947년 단국대학
장호강 / 張虎崗 [역사/근대사]
1916-2009.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평안북도 철산군(鐵山郡)이다. 중국중앙군관학교를 졸업한 뒤 제24집단 군사령부와 제29군사령부의 정보장교를 역임하였다. 광복군에 입대하여 제3지대 본부의 부관실에서 근무하였고, 제3지대가를 작사·작곡하여 보급하였다.
장효근 / 張孝根 [종교·철학/천도교]
1867-1946년. 독립운동가·천도교인. 1898년 8월 이종일·유영석 등과 함께《제국신문》의 창간, 보급에 참여하였으며, 1906년 6월에는 오세창·이인직·권동진 등과 같이 천도교의 기관지인 《만세보》를 창간, 민족혼을 일깨웠다. 그뒤 1909년 6월에는《대한협회
장흥 / 張興 [역사/근대사]
1903-1983. 독립운동가·군인·헌병 영장(營長). 일명 기진(基鎭). 경기도 고양 출신. 중국 상해(上海)·난징(南京)·쑤저우(蘇州) 등지에서 항일투쟁하였다. 1925년 2월 의열단원 오세덕(吳世德)의 권유로 상해 프랑스 조계내에 있던 한국청년동맹회에 가입, 항
재령안녕수리조합반대운동 / 載寧安寧水利組合反對運動 [역사/근대사]
1928년 일제가 황해도 재령군 일대에 설치한 안녕수리조합에 반대해 한국 농민이 벌인 항쟁. 안녕수리조합은 1926년 10월 26일황해도 재령, 안악, 봉산군 일대의 농경지 9,000정보를 대상으로 설립되었는데, 당시 시가의 5할에도 못 미치는 부당한 가격으로 조수지
저경궁대빈궁연호궁선희궁작헌례급춘추분제진설도 친제동 / 儲慶宮大嬪宮延祜宮宣禧宮酌獻禮及春秋分祭陳設圖 親祭同 [정치·법제]
저경궁, 대빈궁, 연호궁, 선희궁 작헌례를 올리거나 춘분, 추분에 제사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한 진설도.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일제시대 이왕직에서 작성된 문서임이 확실하다.
저경궁연호궁대빈궁선희궁춘추분진설도 / 儲慶宮延祜宮大嬪宮宣禧宮春秋分陳設圖 [정치·법제]
진설도. 선조의 후궁이며 추존왕인 원종을 낳은 인빈 김씨의 신위를 모신 저경궁, 숙종의 후궁인 희빈장씨의 대빈궁, 영조의 후궁인 정빈 이씨의 연호궁, 영조의 후궁인 영빈이씨의 선희궁에서 춘분, 추분에 제사를 지낼때와 고유제를 지낼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이다.
전경무 / 田耕武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올림픽대책위원회의 부위원장을 역임한 체육인. ?∼1947. 평안북도 곽산 출생. 4살 때 부모와 같이 하와이로 건너가 그곳에서 중학교까지 마치고 시카고 미시간대학 정치학부를 졸업하였다. 학창시절에 미식축구선수 및 웅변부장으로 활동한 바 있다. 대학을 졸업한
전고대방 / 典故大方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강효석(姜斅錫) 편, 신연활자본, 한양서원(1925), 4권 1책. 고대에서 근대까지의 자료로 작성한 각 분야별 인명사전이다. 제첨지 하단이 손상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