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구완동상감청자가마터 / 舊完洞象嵌靑磁─ [예술·체육/공예]

    대전광역시 중구에 있는 고려후기 이후 상감청자·인화분청사기 등이 출토된 가마터.시도기념물.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35호. 1996년해강도자미술관(海剛陶磁美術館)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하여 모두 2기의 가마유적이 확인되었다.2기의 가마 중 1호가마는 경작과 개간으로 인하

  • 구완식 / 具完植 [종교·철학/유학]

    1825년(순조 25)∼1891년(고종 28). 1878년(고종 15) 경상우병사, 그후 어영청중군부총관을 거쳐 충청도병마절도사에 제수되었다. 1882년 임오군란 때에는 충주로 피신한 명성황후의 호위장으로서 봉영하였다. 1883년 병조참판을 역임하고, 협판군국사무를 지

  • 구용 / 具容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좌찬성을 지내고 능안부원군에 추봉된 구사맹, 어머니는 평산신씨 증영의정 화국의 딸이다. 사승관계는 미상이다. 1590년 생원시에 합격, 1598년 김화현감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죽창유고』2책

  • 구운기 / 九雲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9권 9책(총 336장). 한문필사본. 천태산 연화도량의 성진(性眞)이 양소유(楊小游)로 환생하여 팔선아(八仙娥)의 환신인 이처육첩(二妻六妾)을 차례로 맞고 공명훈업(功名勳業)을 이루었으나, 환몽을 깨고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 팔이고(八尼姑

  • 구운몽 / 九雲夢 [언론·출판]

    저자 김만중(1637-1692). 필사본. 4권 4책. 표지의 제첨에는 '구운몽'이라는 제목과 권수가 적혀 있다. 이 책은 한문본 <구운몽>을 국역한 이본이다. <구운몽>은 총16회로 되어 있는 장회체소설이다. 하지만 한문본을 직접 번역한 것은 아니며, 표기법에서 나타

  • 구원정문집 / 九元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유학자 이형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909년 그의 5대손인 대현(岱鉉)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만규(李晩煃)의 서문과 권말에 이창연(李昌淵)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 구원집 / 九畹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춘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656년(효종 7) 그의 제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경여(李敬輿)·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권1∼3에 시 417수,

  • 구월산별곡 / 九月山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세종 때 유영(柳穎)이 지은 경기체가. 이 책은 여러 가지 이본에 따라 그 표기와 어휘가 서로 약간씩 다르나, 내용은 대체로 비슷하다. 내용은 제1장에서 문화유씨의 발원지인 구월산과 삼지강(三支江)을 배경으로 한 유주(儒州)에서 시조 유차달(柳車達)로부터 고려조에

  • 구은 / 九隱 [역사/조선시대사]

    1455년(세조 1) 단종(端宗)이 왕위를 양보하자 자취를 감춘 9명의 은자(隱者). 구은에 해당되는 인물은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 정재(靜齋) 조상치(曺尙治), 둔수(遯叟) 박도(朴渡), 박제(朴濟), 탁영재(濯纓齋) 박규손(朴奎孫), 운와(雲窩) 박효손(

  • 구은유고 / 龜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변진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8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68년 현손 석균(石均)이 편집, 간행하였으며, 이동식(李東軾)의 서문과 후손 호종(鎬宗)의 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만사 121수, 애사 2편,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