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남회당문집 / 覽懷堂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이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98년 8대손 후빈(厚彬)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이종기(李種杞)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세윤(李世潤)·이후영(李厚永)의 발문과 이창현(李昌鉉)·유

  • 남효온 / 南孝溫 [종교·철학/유학]

    1454(단종 2)∼1492(성종 23). 조선 전기의 문신. 영의정 재의 5대손, 할아버지는 감찰 준, 아버지는 생원 전, 어머니는 이곡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 김굉필·정여창 등과 함께 수학하였다.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저서로는 ≪추강집≫·≪추강냉화≫·≪사우명

  • 낭가사상 / 郎家思想 [종교·철학/유학]

    1920년대의 신채호가 제시한 전통적인 민족사상. 일제하에서 민족사학자들의 정신사관은 낭가사상을 비롯하여 박은식의 '혼', 문일평의 '조선심', 정인보의 '얼', 최남선의 '조선정신' 등으로 나타났다. 낭가사상은 단군조선의 수도제전에서 연맹왕국 시대의 영고, 동맹, 무

  • 낭산문집 / 朗山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원집은 1937년 이후의 아들 이호대(李好大) 등이 편집·간행했고, 권말에 문인 한덕련(韓德鍊)의 발문이 있다. 속집은 원집을 간행할 때 일정(日政)의 검열에 저촉되어 삭제

  • 낭옹일고 / 浪翁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고세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2책. 석인본. 1933년 후손 언찬(彦贊)·언경(彦經)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언경·경(氵+敬) 등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

  • 낭옹집 / 浪翁集 [종교·철학/유학]

    고세장의 문집. 3권 2책. 석판본. 서문은 채산 권상규(1933)가 썼고, 발문은 방예손 고언경과 방예손 고가 지었다. 소화 9년(1934)에 경북 문경군 호서남면 흥덕리 영고사에서 간행, 표제는 낭옹집, 판심제는 낭옹선생일고이다. 이 책은 저자가 사망한 지 260여

  • 낭해집 / 朗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4책. 목활자본. 1911년 족제(族弟) 흠(嶔)과 족질(族姪) 제원(濟遠)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권말에 흠과 제원의 발문이 있다. 영남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 내산문집 / 柰山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운연의 시·만·서(序)·상량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인쇄본. 문집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권1은 시(詩)와 만(輓) 75수이며, 권2는 서(序) 56편이며, 권3은 제문(祭文) 23편, 잡저(雜著) 7편, 고유문(告由文) 3편

  • 내암문집 / 萊庵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정인홍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15권 7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시 23수, 권2∼10에 소 13편, 봉사(封事) 8편, 차(箚) 59편, 계(啓) 2편, 공사(供辭) 3편, 권11에 서(書) 5편

  • 내암유고 / 耐庵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정사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30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630년(인조 8) 저자의 문인인 공주목사 허수(許洙)가 편집하고, 그 뒤 외증손 조성(趙䃏)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성의 발문이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