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 덕인참나무 / 德仁─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김책시 덕인리에 있는 참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302호. 참나무는 원평역에서 임명천의 상류방향으로 약 8㎞ 떨어진 덕인리의 길 옆에 있다. 참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둥근돌과 자갈이 많은 모래메흙이며 습기와 거름기는 보통이다. 이 지대의

  • 덕적군도 / 德積群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속하는 군도. 2007년 말 현재 덕적면 전체 인구는 1,764명(남 922명, 여 842명)이고 세대수는 911호이다. 전체 면적은 36.02㎢고, 논 1.25㎢, 밭 1.5㎢, 임야 31.83㎢이다. 농업으로는 주로 쌀이 생산되고 이 밖에

  • 덕적도 / 德積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1,413명(남 756명, 여 65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748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동남쪽 진리에 집중되어 있다. 이곳에 면사무소가 있으며 섬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1.

  • 덕지강 / 德池江 [지리/자연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수동구(水洞區)와 평안남도 양덕군과의 경계에 있는 재령산(1,217m)에서 발원하여 금야군 해중리와 강원도 천내군 염전리 사이에서 동해의 송전만으로 유입되는 강. 길이 101.5㎞, 유역면적 1,176.8㎢, 유역의 평균너비 11.6㎞, 하천

  • 덕천군 / 德川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북부에 있는 군. 동쪽은 영원군, 서쪽은 개천군, 남쪽은 맹산군·순천군, 북쪽은 묘향산맥을 경계로 평안북도 영변군과 각각 접하고 있다. 1954년 10월 북창군(北倉郡) 삼흥리가 분리되어 덕천군에 편입되고, 1963년 12월 덕천군 안동리 일부가 분리되어 청송

  • 덕천굴 / 德泉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에 있는 용암동굴. 길이 232m. 지층은 신생대 제4기에 분출된 표선리현무암층(表善里玄武岩層)에 속한다. 한국동굴학회의 주관으로 이루어진 한일합동조사에 의하면, 이 동굴은 세계 제일의 동굴시스템인 만장굴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매우 중요

  • 덕천분지 / 德川盆地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덕천시 일대에 형성된 분지. 덕천분지는 동쪽의 금성산(金城山, 571m)에서 서쪽의 월봉산(月峰山, 1,093m)까지 동서의 폭이 약 28㎞, 북쪽의 백애산(白崖山, 1,524m)에서 남쪽의 백운산(白雲山, 609m)까지 남북의 길이가 약 23㎞에 달하는 대규

  • 덕항산 / 德項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태백시 하사미동과 삼척시 신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72.9m이다.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는 두타산(頭陀山, 1,355m), 서쪽에는 삼봉산(三峰山, 1,232m), 남쪽에는 매봉산(梅峰山, 1,303m), 동쪽에는 깃대봉(8

  • 덜꿩나무 / Viburnum erosum Thunb. [과학/식물]

    인동과 덜꿩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덜꿩나무는 경기도 이남의 낮은 산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이다. 인동과의 키작은 나무로 높이는 2∼3m이다. 봄철의 하얀색 꽃과 가을철의 붉은 열매가 아름다워 공원수로 많이 식재된다. 학명은 Viburnum erosum

  • 도고온천 / 道高溫泉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기곡리와 선장면 신성리에 있는 온천. 아산시내에서 장항선 국도를 따라 15㎞ 지점에 있다. 열차를 이용할 경우 온양온천역에서 서쪽으로 15㎞ 지점에 위치한다. 수질(水質)은 약알카리천(ph 7.75)·약염천에 속하는 유황천으로 마치 삶은 달걀이

페이지 / 471 go